사회 전국

부산항 안전 강화를 위해 안전 연동형 임대료 체계 등 도입

부산항만공사가 항만 안전 강화를 위해 안전 연동형 임대료 체계로 개편을 검토한다. 부산항만공사 전경./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부산항만공사가 항만 안전 강화를 위해 안전 연동형 임대료 체계로 개편을 검토한다. 부산항만공사 전경./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



부산항 터미널 운영사들의 안전 경각심을 높이고 사고 없는 항만을 조성하려는 방안으로 인센티브와 페널티가 도입된다.

부산항만공사(BPA)는 최근 부산항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임대료 체계를 고정임대료에서 안전 연동형 임대료 체계로 개편을 검토하는 등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한다고 18일 밝혔다. 안전 연동형 임대료 체계는 무재해 때 임대료를 감면하는 반면 중대재해 발생 때 임대료를 인상하는 것을 말한다.


BPA는 17일 열린 ‘부산항 터미널 운영사 사장단 간담회’에서 안전사고 발생 여부에 따라 인센티브 또는 페널티를 부여하는 방안을 포함해서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중대재해 발생으로 인한 페널티(임대료 인상분)는 부산항 안전기금에 적립해 안전장비 도입 등 안전사고 예방에 활용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BPA는 이와 함께 2022년과 2026년 개장 예정인 신항 서컨테이너부두(2-5·2-6단계) 운영에 직접 참여하는 방침을 결정했다. 운영사 선정 공고문에 BPA가 운영사 지분 30% 확보하고 운영사는 정부와 BPA가 추진하는 정책에 적극 협조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는 민자부두, BPA 임대부두 및 직영부두로 나뉜 부산항에서, BPA와 계약관계가 없어 공공정책이 실행력을 갖는데 한계가 드러난 민자부두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됐다. 한진해운 법정관리 때 국가적인 물류대란을 막기 위해 터미널 운영사에 선석배정 및 하역작업, 장치장 사용 등 협조를 요청했으나 민자부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게 대표적인 사례다.

남기찬 BPA 사장은 “안전한 일터, 사고 없는 부산항 실현을 위해 사람 중심, 안전 우선 항만으로의 가치관 변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하며 “안전이 최고의 경쟁력이라는 믿음을 갖고 터미널 운영사, 항운노조 등과 함께 안전한 근로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