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24일 중국서 韓日정상회담...성과는 미지수

지난해 9월 이후 1년 3개월만

강제징용 갈등 여전히 첨예

시진핑 주석과도 회담 할듯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3~24일 중국을 방문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현지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1년 3개월만이다.

우리 정부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의 조건부 연장으로 한일 갈등을 임시 봉합한 가운데, 양 정상이 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의 전기를 마련할 지 주목된다. 지소미아가 가까스로 연장되기는 했으나 한일 갈등의 핵심 쟁점인 강제징용 배상 및 수출규제 해소에 있어 양국은 뚜렷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8일 기자들과 만나 ‘한일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됐느냐’는 질문에 “앞서 아베 총리가 언급한 바가 있다. 그 내용이 맞는다고 보면 된다”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13일 도쿄에서 열린 내외정세조사회 강연에서 “크리스마스 이브 날에는 청두에서 일중한 정상회의에 출석하고, 이 기회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와도 회담하며, 문재인 대통령과 일한 수뇌회담도 할 예정이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크리스마스 이브에 한일 정상회담이 있을 것이라는 아베 총리의 발언을 청와대가 이날 확인한 셈이다. 이 관계자는 다만 “정확한 시간과 장소 등은 마무리가 되는 대로 공식적으로 발표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에 앞서 시 주석과도 회담을 갖고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한한령(限韓令) 해제를 비롯해 북핵 문제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추궈홍 주한중국대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내년 상반기 한국 방문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연말 도발 가능성 속에서 ‘혈맹’ 중국의 역할론은 주목받고 있다.

청와대는 다만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최대 쟁점인 강제징용 해법이 여전히 도출되지 않은 가운데 이번 정상회담이 ‘정상 간 만남’ 이상의 의미를 갖기는 힘들 것이란 비관론도 제기된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