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금융당국 "중소은행 구하라"

경기둔화로 부실여신 급증

증자·영구채 발행 등 지원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중국 경기가 급속히 둔화하면서 지방 중소은행들이 급격히 늘어난 부실여신으로 휘청거리자 중국 정부가 금융위기 확산을 차단하고 나섰다.

22일 중국 경제지 차이신은 금융 규제감독기관인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가 최근 관련 회의에서 증자와 영구채 발행 등의 방식으로 영업환경이 악화하고 있는 지방 중소은행들의 위험 요인을 적극적으로 해소해나간다는 방침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농촌 지역 등 지방 중소 상업은행들은 경기둔화로 부실채권의 비율이 상승하고 자기자본비율이 떨어지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최근 허난성 이촨농촌상업은행과 잉커우엔하이은행이 파산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대규모 예금인출 사태(뱅크런)가 발생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시장에서는 경영위기에 몰린 은행의 주식이나 영구채 인수를 꺼린다는 점에서 은감위의 이 같은 언급은 정부의 영향력이 미치는 국영 금융기관들을 증자 참여 등에 동원하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앞서 최근 중국 국부펀드인 중국투자공사(CIC) 산하기관인 후이진투자공사는 경영난에 처한 헝펑은행이 새로 발행한 주식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이 은행을 사실상 인수했다.

또 지난 5월 네이멍구자치구의 소규모 은행인 바오상은행이 파산 위기에 몰리자 중국 당국은 구조조정을 거쳐 이 은행을 국유화했다. 이후 랴오닝성 남서부의 진저우은행과 산둥성 항펑은행 등도 부실화로 파산 위기를 맞자 중국공산은행과 후이진투자공사 등 중국의 대형 국영 금융기관들이 차례로 인수하며 국유화됐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