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스마트하게 물관리...믿고 마시는 수돗물 만든다

정부·수자원公, 3년간 1.2조 투입

ICT 접목한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

실시간 수질 측정으로 불신 해소

2024년까지 노후관 정비 작업도

한국수자원공사 직원이 강원도 횡성에서 노후 상수관로를 교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수공한국수자원공사 직원이 강원도 횡성에서 노후 상수관로를 교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수공



경기도 용인에 혼자 사는 윤영주(가명) 씨는 라면 하나를 끓여도 절대 수돗물은 사용하지 않는다. ‘끓이면 괜찮다’는 얘기를 셀 수 없이 많이 들었지만 뭔가 찝찝하다는 게 윤 씨 생각이다. 더구나 올 여름 인천에서 적수(赤水·붉은 수돗물) 사태가 터지면서 수돗물에 대한 윤 씨의 불신은 더 켜졌다. 윤 씨는 “특유의 맛과 냄새, 그리고 혹시 오염된 물질이 있을지 모른다는 막연한 불안감에 수돗물은 직접 마시지 않는다”고 말했다.


22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통합 물관리 주무부처인 환경부와 산하 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는 국민들이 수돗물을 믿고 마실 수 있도록 내년부터 본격적인 스마트 지방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에 나선다. 취수원에서부터 각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흐름의 모든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관련 예산으로 내년에만 총 5,979억원(국비 3,557억원·지방비 2,422억원)이 편성됐다. 오는 2022년까지 3년간 총 1조2,531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관련기사



◇앞으로 3년간 1.2조 투입=우리나라에서 수돗물을 그냥 마시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윤 씨처럼 끓여서도 안 먹는다는 사람도 적지 않다. 수돗물홍보협의회·수돗물시민네트워크의 2017년 보고서를 보면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비율은 7.2%에 그친다. 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들은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비율은 평균 51%에 이른다. 스위스는 이 비율이 62%나 되고 호주(54%), 일본(46%), 프랑스(43%)도 우리나라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높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수돗물을 마시지 않는 이유는 ‘수질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64.4%)’과 ‘물탱크나 낡은 수도관에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41.7%)’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 지방상수도 지원사업은 인천 적수 사태 같은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발생하더라도 신속 대응 가능한 시스템을 만드는 게 핵심이다. 실시간으로 수질과 수량을 측정하고 수질 이상 발생 시 경보가 울리면서 오염수는 자동 배출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국민들이 외국처럼 수돗물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부터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세우고, 각 지자체는 수자원공사와 기본·실시 설계를 진행하게 된다. 인프라 공사도 지자체가 직접 주관한다. 오는 2021년까지 17개 시·도를 중심으로 43개 지역에서 먼저 추진되고 이후 모든 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3조 들여 노후 상수관도 정비=이미 경기도 파주에서는 상수도 공급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가시적 성과를 거둔 선례가 있다. 파주시는 지난 2014~2016년 스마트워터시티(SWC) 시범사업을 벌였고 그 결과 수돗물을 직접 마신다는 비율(음용률)이 평균 36.3%를 기록했다. 1단계로 추진된 교하·적성 지역에서는 시범사업 전 1%에 불과했던 직접 음용률이 최대 41.5%까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가 구축되면 국민들의 수돗물 불신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스마트 상수도 체계 구축 외에도 오는 2024년까지 3조962억원(국고 1조7,880억원 포함)을 투입, 노후 상수관이나 정수장 정비 작업을 벌이고 있다. 당초 2028년까지 목표였던 것을 4년 앞당긴 것이다. 아울러 오존 및 흡착 처리 기술이 적용된 고도 정수처리 시설도 2025년까지 도입률을 7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