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지난해 국가검진 인원 2명 중 1명은 유질환자거나 질환 의심 판정




지난해 국가건강검진에서 국민 절반 정도가 질환이 있거나 질환이 의심된다는 판정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2018년 건강검진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건강검진에서 일반 질환이나 고혈압·당뇨병 질환이 의심되는 ‘질환의심자’가 30.4%, 기존에 기존에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폐결핵으로 판정받고 현재 약물치료를 받는 ‘유질환자’가 23.5%로 집계됐다. 질환의심자와 유질환자를 합치면 53.9%다.


‘정상A’(12.6%, 건강이 양호한 사람)와 ‘정상B’(33.5%, 건강에 이상이 없으나 자기관리나 예방조치가 필요한 사람)를 합한 ‘정상’ 판정 비율은 46.1%였다. 정상 판정 비율은 2012년 47.7%, 2013년 46.5%, 2014년 44.5%, 2015년 42.8%, 2016년 42.0%, 41.3% 등으로 지속해서 감소하다 지난해 반등했다.

관련기사



문진 결과 전체 흡연율(평생 담배 5갑[100개비] 이상을 피웠고 현재까지 담배를 피우는 분율)은 21.5%에 달했다. 다만 남성 흡연율은 2015년 1월 담뱃값 인상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율(BMI 25 이상)은 전체 38.2%로 나타났다. 비만율은 2013년 33.1%, 2014년 32.8%, 2015년 34.1%, 2016년 34.9%, 2017년 36.9%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암 종별 검진율은 위암 61.6%, 대장암 39.8%, 간암 71.5%, 유방암 63.9%, 자궁경부암 56.6%였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