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그룹 모빌리티 기업 '모션' 韓-美 사업환경 '달라도 너무달라'

LA선 카셰어링 서비스 직접 제공

당국·시장까지 나서 지원사격 활발

국내선 차고지 제한 등 규제에 발목

렌터카 업체와 기초 협력수준 그쳐

윤경림(오른쪽) 현대차 오픈이노베이션사업부장과 조석태 한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장이 26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에서 열린 ‘미래 모빌리티 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윤경림(오른쪽) 현대차 오픈이노베이션사업부장과 조석태 한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장이 26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에서 열린 ‘미래 모빌리티 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에 모빌리티 전문기업 ‘모션(MOCEAN)’을 설립하고 첫 번째 프로젝트로 렌터카 사업에 나선다. 현대차는 제도권 내 모빌리티 사업자들인 렌터카 업체들과 협력 모델을 구축해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모션의 국내 첫 사업모델은 지난달 현대차가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설립한 ‘모션랩’에 비해 한참 떨어진다. LA의 모션랩은 각종 첨단 모빌리티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반면 국내에 설립한 모션은 각종 규제에 발목이 잡혀 렌터카 업체와 기초적인 협력모델을 넘어서지 못했다.


현대차그룹은 26일 현대차와 기아차가 8대2 비율로 공동 출자한 모빌리티 전문 기업 모션을 국내에 설립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미국 LA에 세운 모빌리티 서비스 전문 기업 ‘모션 랩’과 같은 목적으로 국내에 전문 법인을 두기로 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사업 내용은 미국과 국내가 사뭇 다르다. LA에서는 차고지 제한 없는 ‘프리 플로팅’ 등 앞선 카셰어링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고 로보택시, 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 각종 첨단 서비스로 확장하겠다고 청사진을 제시한 반면 한국에서는 한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와 협력해 렌터카 업체들을 지원하는 형태에 그쳤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렌터카 업체들에 통신형 단말기를 공급하고 이를 통해 차량 위치, 연료 잔량 등의 정보들을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규제를 지키는 선에서 카셰어링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렌터카 업계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우선 국내에서는 LA에서처럼 현대차가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개인을 이용한 ‘개인간거래(P2P)’ 카셰어링 자체가 불법이어서 최근까지 북미 시장에서 카셰어링 합작법인을 운영했던 독일 다임러그룹과 BMW처럼 우버 같은 형태의 서비스를 할 수 없다.

관련기사



쏘카 등이 택한 렌터카 방식의 ‘우회로’는 중소기업적합업종이어서 진입할 수 없다. 기존 택시·렌터카 사업자들과 협력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LA에서처럼 소비자가 공유차를 이용한 뒤 아무 데나 두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선진 서비스도 국내에서는 불법이다. 렌터카 사업자는 ‘차고지’를 둬야 한다는 규제 때문이다. 쏘카가 굳이 ‘쏘카존’을 운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최종 목적인 자율주행 기술을 위해서는 카셰어링을 통해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느냐가 관건이지만 한국은 (규제로 인해) 이 경쟁에서 쏙 빠져 있다”며 “현대차그룹이 국내 규제를 지키면서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지 고민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필요한 카셰어링 형태가 대부분 규제로 막혀 있는 상황에서 짜낸 고육지책이 단기 렌터카 업계와의 협력이라는 얘기다. 미국에서 LA 메트로, LA 교통국이 현대차 모션랩을 적극 지원하고 출범식에 에릭 가세티 LA 시장까지 출동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현대차그룹의 한 관계자는 “국내에서 렌터카 업계와의 형태로 시작하지만 앞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