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비정규직 통계' 논란에..洪 "국통위, 반드시 대면회의로"

문재인 정부 첫 국통위 대면회의

"신뢰 못받는 통계 의미 없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국가통계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국가통계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사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7일 “앞으로 국가통계위원회 회의는 반드시 대면회의로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국가통계위원회에서 모두 발언을 통해 “국가통계위원회가 내실 있게 운영되도록 개선 방안도 강구하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장관급 통계회의체인 국가통계위원회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면회의가 아닌 대면회의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총리 주재로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여한 대면회의가 마지막으로 열린 것은 지난 2014년 11월이었다.

관련기사



이런 가운데 홍 부총리가 국가통계위원회의 서면회의를 폐지하겠다고 밝힌 것은 지난 10월 말 불거진 비정규직 통계 논란을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당시 통계청은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비정규직이 87만명 가량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 이유는 조사 문항이 추가됐기 때문”이라며 시계열 단절을 선언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신뢰받지 못하는 통계는 의미가 없다. 통계 작성 과정 전반이 더 투명해져야 한다”며 “통계를 바라보는 사회적 관심과 눈높이가 현저히 높아져 통계 작성 과정이 더 투명해져야 하며 프로세스도 고도화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