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 내년 통화정책 운영방향…"통화완화 기조 유지"

"GDP 증가율 2%대 초반 예상"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이 내년에도 통화정책 완화 기조를 유지한다.

한은은 27일 공개한 ‘2020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에서 “국내경제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을 하회하고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압력이 약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성장세 회복을 지원하고 중기적 시계(視界)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2%)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는 주요 리스크 요인의 전개와 국내 거시경제 흐름 및 금융안정 상황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9일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동결한 뒤 낸 통화정책방향 의결문과 비교할 때 별다른 정책변화 신호는 보이지 않았다.

관련기사



한은은 내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대 초반으로 예상하면서 “성장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은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미중 무역분쟁 지속, 지정학적 리스크, 반도체 경기 회복 지연 가능성 등이 여전히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설비투자와 수출이 개선되고 민간소비도 하반기 이후 완만하게 회복될 것”이라면서도 “성장세가 잠재성장률을 밑돌면서 ‘GDP 갭률’의 마이너스 폭은 소폭 확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GDP 갭률은 실제 GDP와 잠재 GDP 간 차이를 잠재 GDP로 나눈 비율로, 마이너스 값이면 수요가 공급을 밑도는 디플레이션 압력이 더하다는 의미다.

이와 함께 한은은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국내 금융·경제 여건에 적합한 금리 이외의 통화정책 수단 활용방안 연구를 강화하기로 했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직후 기자회견에서 “현재는 특정 수단을 염두에 두지 않고 주요국에 도입된 비전통적 정책 수단을 폭넓게 살펴보고 있다”면서 양적완화 등 금리 이외 정책수단의 활용방안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기준금리가 연 1.25%로 낮아짐에 따라 금리정책의 여력이 축소할 것에 대비한 조처로 풀이된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