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강립 복지부 차관 "장애인 일자리사업, 단순 소득활동 떠나 함께 살아가는 일"

6년 전 갑자기 장애인됐다가 일자리 사업으로 재기하기도

실무자들 "지역사회와 보건복지부 협업해 복지생태계 구축해야"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이 3일 서울 도봉장애인종합복지관에 방문해 포장용 비닐을 쌓고 있는 직업훈련생 장애인들을 격려하고 있다./백주연기자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이 3일 서울 도봉장애인종합복지관에 방문해 포장용 비닐을 쌓고 있는 직업훈련생 장애인들을 격려하고 있다./백주연기자



“6년 전 하루 아침에 장애인이 됐습니다. 처음으로 일자리를 갖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3일 서울 도봉구 마들로 소재 도봉장애인종합복지관. 김강립 복지부 차관을 비롯해 복지부 관계자들과 장애인복지 담당자들이 모인 현장방문 간담회에 일자리 참여자로 참석한 여성이 입을 뗐다. 불의의 사고로 인해 갑자기 장애인이 된 그녀는 활동에 제약이 생겨 경제적 어려움을 겪다가 장애인 일자리 사업을 통해 다시 살아갈 희망을 얻었다. 그녀는 “중증장애인이 아니면 2년 동안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후에는 나가야 한다”며 “일자리 자활 교육을 발판삼아 외부 기관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호소했다.


도봉장애인복지관과 도봉구립직업재활시설(장애인보호작업장)은 근로장애인과 직업훈련생을 육성하고 있다. 이 곳에 입소한 장애인들은 종이쇼핑백을 접거나 포장용 비닐을 차곡차곡 한데 모아 다이소에 납품하는 일들을 통해 소정의 급여를 받고 직업훈련을 받는다. 근로장애인들은 지난해 기준 하루 일당 2만6,000원 정도를 받고 있으며, 훈련을 받는 직업훈련생들은 한달에 6만원 정도의 월급과 무료 교육을 받는다. 아동 장애인들을 위한 재활치료나 심리 치료도 병행된다.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장애인들을 돕는 중간 지대인 셈이다.

관련기사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이 3일 서울 도봉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재활 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제공=보건복지부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이 3일 서울 도봉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재활 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제공=보건복지부


연초부터 장애인 일자리 등이 제공되는 데 어려움이 없는지 사업 현장을 점검하고 일자리 참여자들을 격려하러 나온 김 차관은 이날 “장애인 일자리 사업은 단순히 일을 하고 소득활동을 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며 “사회 일원으로서 함께 살아가게 만드는 의미가 있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생산성에 대해 편견을 갖지 않고 보면 오히려 장애인들이 더 일을 잘하는 경우도 많다”며 “예를 들어 청각 장애인은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하는 힘이 있기 때문에 모발이식과 같은 업무를 훌륭히 수행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애인 복지관 실무자들로부터는 지역사회와 보건복지부가 협업해야 지속가능한 복지생태계 구축이 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역사회에서 자치 분권을 통해 장애인 일자리와 관련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싶어도 정부 지침들이 까다로워 한계가 있다는 의미다. 이들은 보건복지부가 지방정부와 지역사회 장애인센터를 믿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의 힘을 키우는데 협조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자활 근로 장애인 일자리와 노인일자리 등 직접일자리를 총 85만명에게 제공한다. 이 중 88%인 75만여명이 1분기부터 일자리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