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퇴근 후 웹소설로 10억을? ‘재벌집 막내아들’ 산경 작가 “꿈으로만 끝내지 말라”

소설작가로 등단하기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공모전에서 수상을 해야만 가능했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요새는 기발한 아이디어와 참신한 ‘글빨’만 있다면 웹소설 시장에서 수억대의 수익을 올리며 작가로 이름을 날릴 수 있는 기회가 열리고 있다.

지하철이나 카페에서는 두꺼운 종이책 대신 스마트폰으로 웹소설을 보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누구나 재미있는 소재와 이야기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연재할 수 있기 때문에 부업으로 웹소설 시장에 뛰어드는 직장인들, 학업과 병행하려는 학생들까지 관심이 매우 뜨겁다.

특히 최근 방영됐던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 ‘저스티스’, ‘김비서가 왜 그럴까’ 등이 모두 웹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앞으로 그 성장가능성을 가늠케 한다.

하지만 의외로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웹소설 연재를 시작해야하는 몰라 망설이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을 위해 ‘비따비 : Vis ta Vie’, ‘재벌집 막내아들’ 등을 히트시키며 월 매출 1억원, 유료 누적 조회수 5천만을 자랑하는 산경 작가가 <실패하지 않는 웹소설 연재의 기술>이라는 책을 발간했다.

실제로 대기업에서 수출 업무를 담당하다 우연한 계기로 웹소설 시장에 뛰어들게 된 산경 작가는 웹소설과 일반 소설은 엄연히 다르기에 ‘소설 작법서’가 아닌 ‘웹소설 작법서’가 필요하며, ‘성공적으로 유료연재를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산경 작가와의 일문일답.

▲ 대기업에 다니는 평범한 직장인에서 웹소설 작가로 전향하게 된 계기와 과정이 궁금하다.

- 우연찮게 알게 된 웹소설 플랫폼에서 연재중인 소설을 몇 개 읽게 됐다. 아주 신선한 발상으로 시작한 소설이었는데 풀어나간 이야기는 그다지 재미있지 않았다. 그런 소설 몇 개를 보다보니 내가 써도 이 정도는 쓰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웃음). 그런데 실제로 이런 생각으로 웹소설을 시작한 작가가 의외로 많다. 그래서 틈틈이 연재를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연재의 규칙, 편당 글자 수, 연재 주기 등도 모른 채 시작했다. 그러다보니 편당 5,000자는커녕 2,000자를 쓸 때도 있었고 대부분은 3,000자 분량이었다.
이렇게 첫 무료 연재를 할 때 많게는 2,000명, 적게는 500명이 내 글을 읽어줬고 댓글도 달리기 시작하자 그런 반응을 보는 재미로 100화정도 무료 연재를 할 수 있었다.
물론 불규칙한 연재였고 아이디어, 에피소드가 생각날 때만 끄적이는 수준이었다. 나중에는 글쓰기가 귀찮아서 주인공이 갑자기 죽는 걸로 엔딩을 맺은 적도 있다. 그렇게 웹소설 시장에 발을 디디게 됐다.

▲ 웹소설과 일반소설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사람들이 많다. 어떻게 다른가?

- 어차피 둘 다 소설이기 때문에 컨텐츠 자체의 구분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바라보는 시선은 많이 다르다. 책으로 나오는 소설과 달리 웹소설은 문학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인데 이런 구분은 무의미하지 않나 생각한다.

대신 첫 번째 구분은 비즈니스 방식의 차이다. 종이로 된 책을 유통하느냐, 아니면 디지털화 된 텍스트 파일을 웹상으로 유통하느냐의 차이인 것이다. 전자는 고비용이며 후자는 저비용이다. 전자는 복잡한 유통경로를 거치며 후자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단순한 유통과정을 거치게 된다.

두 번째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느끼는 차이다. 웹소설 작가는 일일연재와 300화가 표준이 되어버린, 빨리 쓰고 많이 써야 하는 시장의 요구에 맞춰 글을 쓰다 보니 디테일보다는 스토리 전개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소비자인 독자가 웹소설과 일반 소설을 대하는 태도이다. 독자는 웹소설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편당 100원을 지불하고 5분~10분 정도면 한 편을 다 읽는다. 독자는 그 짧은 시간의 단순한 즐거움의 대가로 100원 정도면 가성비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며 기꺼이 지불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영화관에서 만원 가까이 지불하며 영화를 보는 것과 집에서 TV 예능 프로그램을 볼 때의 차이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 웹소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웹소설 작가를 꿈꾸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할지 몰라 선뜻 도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처음에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하는가?

- 작가를 꿈꾼다면 가장 먼저 글을 써야할 것이다. 글을 쓰고 무료 연재 플랫폼에 업로드 하는 것만 시작하면 된다. 무척 쉽지 않은가? 그렇기 때문에 웹소설 작가를 꿈꾸는 사람들이 많아질 수 있었던 것 같다.

▲ 독자들의 흥미를 끌어당길 수 있는 웹소설을 쓰기 위해서는 소재, 캐릭터, 플롯, 시점, 자료조사 등 고민해야할 부분이 많다. 보통 어떤 기준으로 작품을 시작하고 이야기를 써내려 가는가?

- 내 기준은 단순하다. 내가 잘 아는, 혹은 잘 안다고 착각하는 소재를 선정하고 첫 화를 써 보는 것이다. 첫 화가 아주 쉽게 술술 잘 써지면 그 다음 2화를 쓰고, 이렇게 5화 정도 쓰는 것이 크게 어렵지 않다면 연재를 시작한다. 어차피 10화 정도 지나면 머리를 쥐어짜면서 쓰게 된다. 꾸역꾸역 써 나가는 수밖에 방법이 없다.

▲ <실패하지 않는 웹소설 연재의 기술> 책 내용 중에 웹소설 연재는 하루도 쉬지 말고 주 7회, 적어도 주 5회는 연재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하고 있다. 매일 일정 분량의 글을 생산해낸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닌데 이를 위해 평소에 어떤 훈련을 해야 하는가?

- 아는 게 많을수록 글 쓰는 게 쉬워진다. 여기서 안다는 건 꼭 필요한 지식만을 뜻하는 게 아니다. 남들이 보기에는 전혀 쓸모없는 것이라도 다 써먹을 수 있다. 많이 보고, 듣고, 읽고, 경험하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노트북, 의자와 친해져야 한다. 매일 5,000자를 써내려가는 것이 웹소설 작가의 숙명이다.

▲ 어느 정도의 조회수와 반응이면 성공적인 웹소설 작가로서 가능성이 보인다고 판단하는가?

- 한 작품의 조회수로 가능성을 판단하는 건 성급하다. 300화 짜리 하나 쓰면 1년이 지나간다. 이때 성공을 해서 모든 지망생의 꿈인 월천만원 수익의 작가가 됐을지라도 다음해, 그 다음해에 유료화를 못하는 작가도 많다. 내 개인적인 기준은 반응이 시원찮더라도 꾸준히 글을 쓸 수 있느냐 없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

▲ 현재 다른 직업군에서 일을 하면서 웹소설 작가를 꿈꾸는 사람들 중에는 전업작가냐 부업이냐의 기로에 서서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 처음에는 무조건 고민하지 말고 부업으로 시작해야 한다. 보통 전업을 고민하시는 분들을 보면 현재의 직업에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일 가능성 높다. 적성에 맞지 않다, 연봉이 낮다, 일이 고되다 등의 이유로 말이다. 이때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웹소설이 눈앞에 나타나니 현재의 직업을 때려치울 훌륭한 명분 혹은 변명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업 작가의 길에 들어서기 가장 적절한 시기는 바로 글을 써서 벌어들이는 수입이 현재 하는 일의 수입을 넘어섰을 때이다.

▲ 마지막으로 웹소설 작가를 꿈꾸는 많은 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 긴 호흡으로 작가 생활을 시작한다고 생각하고 첫발을 떼는 게 중요하다. 첫 작품의 성공 여부에 너무 기뻐하거나 좌절하시지 말고 꾸준히 글을 쓰다보면 좋은 결과가 나올 거라고 생각한다. 인생은 마라톤이라고 하지 않는가?(웃음)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관련기사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