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원지인 중국의 상황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27일 현재 확인된 우한 폐렴 확진자 수가 2,844명, 사망자가 81명이다. 문제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데 있다. 보건 전문가들은 우한 폐렴이 지난 2003년 사스를 넘어선 대재앙으로 번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는 28일 0시를 기해 중국 전역을 검역 대상 오염지역으로 지정하고 사례 정의의 범주도 확대했다. 하지만 감염자 상당수가 무증상 잠복자로 입국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미온적 대처라는 지적이다. 또 중국에서 입국하는 여행객이 작성하는 건강상태 질문지를 개인의 양심에 맡겨야 한다는 점에서 대재앙의 불씨를 남길 수 있다. 상황이 심상치 않게 돌아가자 그제 “과도한 불안을 갖지 말라”던 문재인 대통령도 “중국 우한 지역 입국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라”고 지시했다.
중요한 것은 우한 폐렴이 국가적 재앙으로 치닫는 것을 막으려면 선제적 대응이 절실하다는 점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해 중국에서 들어오는 사람들에 대한 전면 모니터링과 격리조치를 주문했다. 싱가포르의 경우 중국을 다녀온 이들을 대상으로 14일간의 의무휴가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도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환자 밀접 접촉자를 14일 간 자가격리하도록 조치한 바 있어 이런 방식의 선제적 조치도 고려할 만하다. 또한 필요하다면 입국금지 조치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정부는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하는 데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한치의 소홀함도 허락할 수 없는 ‘전염병과의 전쟁’은 넘치는 게 모자라는 것보다 낫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