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범정부 혁신조달 종합포털 ‘혁신장터’ 개통

조달청, 24일부터 혁신조달 전 과정 아우르는 통합서비스 제공

정부의 혁신조달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통합(원스톱) 서비스 포털이 24일 개통된다.

조달청은 범정부 혁신조달 플랫폼‘혁신장터’를 개통해 상용화된 제품 중심의 현행 공공조달시스템 ‘나라장터’와 차별화해 운영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혁신장터는 공공기관의 혁신수요와 기업의 혁신제품을 연결하고 혁신제품의 초기 진입 시장을 제공하게 된다.

‘혁신상품 수요 제시·제품 등록·원스톱 거래’가 가능한 열린 장터(오픈마켓) 형태로 운영되며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에 따라 구축됐다.

‘혁신장터’는 혁신제품 전용몰, 혁신 수요·공급 커뮤니티, 부처별 공공 R&D 수요조사 통합운영, 경쟁적 대화방식 등 혁신조달제도의 정보화 지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혁신제품 전용몰은 우수 R&D 제품, 혁신 시제품 시범구매 제품 등을 열린 장터 형태로 업체가 자유롭게 등록·거래할 수 있도록 하여 혁신 제품의 판로를 지원한다. 그동안 수요기관과 업체별로 오프라인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던 혁신제품 탐색 절차를 온라인화하고 인공지능(AI)을 도입해 비교 가능한 상품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구매 편의를 크게 높였다.


지난해 혁신시제품으로 지정된 드론 등 66개 제품이 한자리에 선보이게 된다. 올해는 300개 이상의 제품이 새롭게 등록될 예정이며 나라장터와 연계하여 수요기관의 구매가 편리하도록 설계돼 있다.

관련기사



특히 모든 국가기관, 지자체, 공기업 등 공공기관별 물품 구매액의 1%를 혁신제품 구매에 활용하는 제도가 의무화된다. 예산 규모는 연간 약 4,000억원이며 구매 실적은 기관 평가에 반영될 예정이다.

혁신 수요·공급 커뮤니티는 공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공공기관의 문제 제기와 기업이 혁신제품 공급을 제안하고 전문가를 통해 수요와 공급간 연계를 지원한다. 국민이 정부에 원하는 수요를 체계적으로 축적해 향후 정책 방향을 결정하거나 연구개발을 지원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계획이다.

조달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관련부처와 협의체를 구성해 부처별로 추진하던 공공 연구개발(R&D) 사업의 수요 조사 정보를 혁신장터에서 통합해 제공한다. 올해예산 규모는 약 2,2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혁신시제품 시범구매사업, 경쟁적 대화 방식 등 새롭게 도입된 혁신조달 제도를 온라인에서 구현해 혁신조달 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는 도전적 수요 발굴 업무 지원, 온라인 평가 기능, 평가위원 추천 기능 등을 추가로 구현하기 위해 혁신장터 기능을 더욱 고도화 할 계획이다.

강신면 조달청 구매사업국장은 “조달청은 지난해 혁신조달 전담 부서를 신설해 혁신 시제품 시범구매, 혁신장터 구축 등 혁신조달 기틀을 마련했다”며 “올해는 ‘혁신장터’라는 단일 창구 개통을 계기로 범정부 차원의 협업으로 혁신 지향 공공조달의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