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코로나發' 주요국 성장 위축, 韓 성장률 최대 2.0%p 끌어내려"

■한경연,'주요국 성장위축이 우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미·중·일 1%p 떨어지면 한국도 0.4~0.5%p↓

"국제공조 절실…통화스와프도 확대해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주요국의 경기 위축이 한국의 성장률을 최대 2.0%포인트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미국과 중국, 일본 등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3개국의 경제 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면 한국은 0.4~0.5%포인트 낮아지기에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8일 발표한 ‘주요국 성장위축이 우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분석’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근거로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포인트 낮아지면 한국은 0.5%포인트 내려갔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은 같은 상황에서 한국 성장률을 0.4%포인트 낮추는 효과를 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주요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대폭 하향조정되고 있다. 앞서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올해 세계 성장률을 2.5%에서 -1.9%로 4.4%포인트 끌어내렸다. 미국은 2.0%에서 -3.3%로, 중국은 5.9%에서 1.6%, 일본은 0.4%에서 -2.7%로 조정됐다. 한경연은 이 수치를 바탕으로 추정한다면 미국 경제의 위축은 한국 성장률을 2.0%포인트까지 떨어뜨리는 효과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1.9%포인트, 일본은 -1.5%포인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주요국 성장률과 한국 성장률 추세/자료=한경연주요국 성장률과 한국 성장률 추세/자료=한경연


특히 세계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특성상 독자적인 경기부양과 방역대책만으로는 코로나19가 몰고 온 경기 위축을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의 국제 공조가 절실하다고 한경연은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주요20개국(G20) 회원국으로서 경기부양 논의에 적극 참여해 주요국이 재정지출 확대와 양적완화를 신속히 추진하도록 협력해야 한다는 점이 대응책으로 꼽혔다. 국제금융·외환시장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해 통화스와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특히 세계경제 침체기에 강력해지는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지 않도록 건강한 기업인들의 사업 목적 입국이 허용되도록 국제 합의를 끌어내는 것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에서 대규모 재정지출 확대와 양적완화 정책이 시작됐으므로 이제는 경기부양과 방역에서 국제공조하고 국제무역 촉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