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안내견 국회출입 논란' 속 인사처 "장애인공무원, 편의시설 확충해야"

장애인편의시설 점수 되레 하락

인사관리 전반 인식도 소폭상승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미래한국당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김예지 비례대표 후보의 안내견이 핑크 리본을 달고 있다./연합뉴스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미래한국당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김예지 비례대표 후보의 안내견이 핑크 리본을 달고 있다./연합뉴스



시각장애인인 김예지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당선자와 관련 국회가 안내견의 국회 본회의장 출입을 금지한 데 대해 비판이 일고 있는 가운데 장애인 공무원들의 인사관리에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19일 파악됐다.

인사혁신처는 중앙부처 장애인 공무원 1,43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온라인으로 실시한 ‘장애인공무원 인사관리 실태 및 인식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채용과 직무배치, 근무평정과 승진, 교육훈련, 근로환경 등에 대해 5점 만점으로 긍정도를 조사했다. 장애인 공무원 정책 중 개선할 부분이 있는지 점검한 것으로, 지난 2018년에 이어 두 번째다.


조사결과 경사로와 엘리베이터 등 장애인 편의시설 배치의 경우 지난 조사(3.95점)보다 0.41점 하락한 3.54점을 기록,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에 대한 각 기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사처는 지적했다.



이어 직무배치와 관련해 희망근무지 사전조사 및 반영 분야는 보통(3점) 이하의 점수를 이어갔으며 지난 조사(2.93점)보다도 0.04점 하락한 2.89점을 기록, 근무지역 배치 문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사처는 장애인 공무원의 근무를 지원하는 장애인지원관의 역할을 강화하고 사전 희망보직 조사와 희망근무지제도 등의 이행 실태를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반면 장애인 공무원들의 채용과 근로환경, 근무지원사업 등 인사관리 전반에 대한 인식도는 평균 3.47점으로, 2년 전(3.38점)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는 장애인 공무원에 대한 근로지원인 지원 서비스 만족도가 가장 큰 폭으로 올라 지난 조사(2.83점)보다 0.6점 오른 3.43점을 기록했다. 이는 2년 전보다 근로지원 인원이 54명에서 117명으로 2배 이상 늘었고, 지원기기 수도 3배 이상(41점→149점)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인사처는 분석했다.

한편 인사처는 7·9급 공채 장애인 채용 할당률을 지난 2018년 6.4%에서 올해 7.2%로 확대, 법정 의무고용비율(3.4%)의 2배 이상을 상회하도록 했고 중증 장애인 경력채용 직위도 2년 전 29개에서 올해 50개로 늘렸다. 김우호 인사처 차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모범적 고용주로서 장애인 채용기회를 확대하고 그들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근무 여건을 개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