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교역조건 28개월째 악화, 3월 상품교역지수 전년대비 -2.6%

수입가격보다 수출가격 하락폭이 더 큰 탓

반도체 수출 선방으로 3월 수출물량은 10.6% 상승

4월 이후엔 반도체 효과 사라질듯




교역조건이 28개월째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6% 낮아졌다. 수출물량지수는 반도체 수출이 비교적 선방하면서 다소 상승했으나, 유럽과 미국 등지로 감염증이 확산함에 따라 4월 이후에는 수출이 받는 타격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자료를 보면 수출가격(-9.2%)이 수입가격(-6.8%)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28개월째 하락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 상품 1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낸다. 수출 상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이 줄어든 셈이다.

다만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의미하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대비 7.7% 상승했다. 수출물량지수가 10.6% 높아진 영향이다.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출물량지수가 상승한 것은 반도체 수출이 다소 선방한 덕분이다. 기계·장비, 섬유·가죽제품 등의 수출물량은 감소했으나 반도체를 비롯한 컴퓨터, 전자·광학기기 등이 15.2% 증가했다. 화장품과 의약품을 중심으로 화학제품(11.2%) 수출물량도 늘었다.

관련기사



수입물량지수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이 늘면서 전년동월대비 1.5%증가했다. 기계 및 장비 수입은 26.2% 증가했다.

4월 이후에는 반도체 효과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청이 통관 기준으로 집계한 수출은 이달 1~20일 217억2,900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26.9%(79억9,000만달러)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4월 들어 통관기준 수출액이 감소했지만, 수출물량 변화는 수출물가의 변화를 살펴봐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