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일부 신흥국이 경제위기를 겪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0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코로나19로 인한 신흥국 위기 가능성’ 보고서를 내고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일부 신흥국이 경제위기를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아르헨티나 등 일부 신흥국에서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제위기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신흥국의 신용부도스와프(CDS)가 대체로 상승했고 중남미 지역 신흥국의 통화가치 절하율도 두드러진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이후 신흥국의 CDS는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지만 아르헨티나의 CDS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아르헨티나는 최근 디폴트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2020년 초 3,000bp(1bp=0.01%포인트)대 수준이었던 CDS가 코로나19 이후 3만2,000bp까지 오르고 일별 변동폭이 1만bp까지 상승하는 등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 신용부도스와프란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일종의 보험 성격의 금융파생상품이다. 부도 위험이 늘어날 때 프리미엄이 올라가고는 한다.
통화가치는 중남미 지역이 크게 하락하고 있다. 브라질(-28.8%), 멕시코(-25.5%), 콜롬비아(-21.4%) 등 중남미 지역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크게 하락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러시아 등에서도 통화가치 하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코로나19 이후 터키·헝가리·칠레 등에서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브라질·러시아 등은 외환보유액이 줄어들기는 했으나 감소율은 금융위기 때보다 작았다.
일부 신흥국은 재정 건전성 리스크도 커졌다. 아르헨티나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86.1%까지 치솟았고 브라질도 82.5%로 높게 나타났다. 정부부채 비율이 높은 신흥국이 경기 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지출을 더 늘릴 경우 재정위기가 발생할 수도 있다. GDP 대비 재화 및 서비스의 수출 비중을 의미하는 대외의존도는 베트남·체코·폴란드·멕시코에서 높아졌다.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에 따르면 올해 선진국은 -6.1%, 신흥국은 -1.0% 역성장이 예상된다. 세계 대공황 이후 처음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의 동반침체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연구원은 “신흥국 위기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취약 신흥국 관련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