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지난달 이들 진료과 개원의 1,865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다.
3일 의협에 따르면 개원의 10명 중 5명(51%)은 내원환자 수와 매출액이 40% 이상, 4명(41%)은 20~39% 줄었다고 답했다. ‘감소하지 않았다’고 답한 개원의는 1%에 그쳤다. 특히 소아청소년과 개원의는 열 중 아홉에서 환자 수가 60% 이상 줄어 타격이 가장 컸다. 이비인후과의 85%도 환자 수가 40% 이상 줄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될 경우 언제까지 의원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10명 중 8명(82%)이 6개월 이내(57%) 또는 6개월 초과~1년 이내(25%)라고 응답했다. 절반 가까운 46%는 폐업할 생각이 있다고 했다
하지만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선지급을 신청했다는 응답자는 23%에 그쳤다. 신청하지 않은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곧 상환해야 하는 부담 때문’(54%), ‘은행권 채권양도대출이 있어서’(17%), ‘신청절차가 복잡해서’(11%) 등을 들었다.
한편 개원의의 74%는 개원 때 대출을 받았고, 43%는 추가 대출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추가 대출 희망액은 1억원 미만(53%), 5억~10억원(40%)이 많았다.
박종혁 의협 대변인은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의료기관의 직원 감축과 폐업으로 이어져 결국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의협은 1차의료 붕괴를 막으려면 한시적이라도 △진찰료 인상 △손실보상 대책 확대 △직원 건강보험료 감면과 세제 혜택 △종합소득세 납부 6개월 이상 유예 △신용카드 우대 수수료율 적용 △각종 행정규제 연기 △감염예방·교육상담료, 감염장비 구매 지원수가 신설 등 파격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대책을 마련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