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디지털 보안 기술 확대…“비대면 산업 적극 활용해야”

디지털 위변조 방지 기술

2017년 58건에서

지난해 99건으로

매년 디지털 위변조 방지 기술 특허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온라인 기반 비대면 시장이 확대되는데 관련 디지털 보안 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3일 특허청은 디지털 데이터 위변조 방지 관련 기술 특허 출원이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2년 42건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58건으로 완만하게 상승하다가 2018년 88건, 지난해 99건으로 매년 관련 특허 출원이 늘어나고 있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가장 많이 출원된 기술은 위변조 방지를 위한 보안, 인증 관련 특허다. 이 분야 특허는 191건(54%) 출원됐다. 이어 무결성 검증, 익명화 관련 기술이 74건(21.1%) 출원됐다. 이밖에 블록체인 기반 보안시스템(59건), 메타데이터 기반 암호화(13건), 생체인식 기반 사용자 인증(7건)이 뒤를 이었다.



특히 2018년부터 블록체인 기반 보안 시스템 관련 특허출원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개인정보 중요성과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른 것으로 평가된다.

관련 특허는 한국조폐공사가 22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했다. 인포뱅크(15건),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이 각각 13건을 기록했다.

박제현 특허청 컴퓨터심사과장은 “비대면 시장이 활성화 될수록 디지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시장도 늘어날 것”이라며 “디지털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 출원이 지속 증가하고 있어 관련 산업에서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