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카카오 택시에서는 앱미터기로 요금 확인·자동계산하세요”

지난해 9월 규제 샌드박스 허가 취득

24일부터 카카오T블루 적용 개시




카카오(035720)모빌리티(대표 류긍선)는 24일부터 가맹형 브랜드 택시 ‘카카오 T 블루’에 중형택시 최초로 앱미터기를 도입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이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규제 샌드박스 심의를 통해 ‘GPS(위성항법장치) 기반 앱미터기’ 사업에 대한 임시허가를 받은데 이어 이달 초 국토부의 ‘앱미터기 임시검정 기준안‘을 1호로 통과한 바 있다.

앱미터기는 GPS 기반으로 시간, 거리, 속도를 계산해 택시 요금을 산정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기계식 미터기는 요금제 변경 시 수동으로 기기를 조정해야 했다. 그러나 앱미터기를 장착한 택시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요금제가 제어되므로 물리적인 기기 조정 과정 없이 요금제 변경이 가능하고, 탄력요금제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적용에 용이하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유료 도로 비용이나 시계외 할증 비용이 앱에서 자동으로 계산되고, 이용자가 앱을 통해 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서 “요금 오입력에 따른 요금 분쟁 가능성도 낮출 수 있어 기사와 승객 모두 편익이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관련기사



그동안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에서 안정적인 앱미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을 개발했다. 앱미터기를 통해 택시 갓등과 빈차표시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동하고 맵매칭 기술을 고도화해 경로 추정 오차를 최소화했다.

우선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블루’ 차량에 앱미터기를 적용해, 10대 규모로 운영을 시작한다. 이후 적용 차량을 확대해 가맹형 브랜드 택시 외 일반 택시에서도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GPS 기반 앱미터기는 기존 기계식 미터기로 불가능한 탄력요금제, 사전확정요금제 등 다양한 서비스 출시가 가능해 이용자의 선택권을 넓히고 편익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며 “승객과 기사 모두 만족하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