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5G)에 대한 정부의 첫 품질평가 결과 평균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가 초당 700Mbps(초당 메가비트)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통3사들은 5G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4세대 롱텀에볼루션 이동통신서비스(4G LTE)보다 최대 20배 빠른 전송 속도를 낼 수 있다고 광고했지만 아직은 해당 성능에 크게 못 미치는 성적을 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서 5G 품질을 측정한 결과 이동통신3사 서비스의 평균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는 656.56Mbps, 평균 업로드 속도는 64.16Mbps로 나타났다. 지난해 LTE 품질 조사에서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158.53Mbps, 평균 업로드 속도가 42.83Mbps였다. 현시점 5G는 LTE에 비해 다운로드 속도는 4.1배, 업로드 속도는 1.5배 빨라진 셈이다.
실제 이용자 평가에서는 5G 속도가 정부 평가 결과보다 더 낮게 나왔다. 이용자 평가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22.67Mbps, 평균 업로드 속도는 48.25Mbps였다. 특히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측정 장소에 따라 천차만별이었다. 지하철 역사에서 측정한 속도(885.26Mbps)와 객차 안에서 측정한 속도(703.37Mbps), KTX(272.75Mbps)나 SRT(368.35Mbps)에서 측정한 속도가 모두 달랐다.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지하철 객차 안에서 5G가 LTE로 전환되는 비율도 19.49%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5G 커버리지(이용 가능 구역)도 서울시 기준 전체 약 70% 수준이었다. 이통3사 평균 서울 커버리지가 425.53㎢로 집계됐는데, 이는 서울시 전체 면적 605.2㎢(국토교통부 기준)의 약 70%에 불과하다. 백화점·여객터미널·대형병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도 5G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파 신호 세기 비율(5G 가용률)은 평균 67.93%에 그쳤다.
이에 5G 품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은 폭발하고 있다. 실제로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출범한 방통위 통신분쟁조정위원회에 1년 동안 280건의 분쟁 조정 신청이 들어왔는데, 그중 20%(56건)가 5G 품질 관련 소비자 불만 민원이었다.
소비자 단체에서는 허위·과장 광고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