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연주 대전협 부회장은 “지방의 병원에 의사들이 부족하고 생명을 다루는 ‘내외산소’ 진료과(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과)들이 기피대상이 된 엉망인 의료체계를 만들어 놓고 정부는 (의대 정원을 늘리는) 쉬운 길만 찾으려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제대로 배우고 수련받을 수 있는 의료환경이 대한민국엔 없었다”며 “정부도, 병원도 젊은 의사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키워야 할지 관심이 없으면서 (의대생) 숫자만 늘리는 것은 눈가리고 아웅식 대책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김진현 대전협 부회장은 “의대 입학정원을 10년 간 4,000명 확대하겠다는 데 근거가 무엇인지 묻고 싶다”면서 필요한 전문과목별 전문의 수 등 보건의료인력에 대한 (정교한) 추계를 바탕으로 의대 입학정원 확대 규모를 재검토하고 전공의 수련 및 지도전문의 내실화, 기피 진료과에 대한 국가 지원 등 ‘전공의 수련 국가책임제’ 시행을 촉구했다.
그는 “대한민국 전공의는 일주일에 100시간 이상의 살인적 근무에 시달리고, 폭력·갑질을 당해도 밝히지 못하고, 최저임금도 보장받지 못한다”면서 “전공의가 최소한의 인간적 환경에서 수련받을 수 있도록 전공의 관련법령을 개정하고 (병원의) 근로 공백을 메우는 게 아닌 전문교과 수련을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이런 현실을 개선하지 않으면 의대 정원을 늘리고 공공의대를 도입해도 의료환경이 개선되지 않는다. 전공의 수련과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고려 없는 의료정책은 고통받는 전공의 수만 늘리는 결정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김솔 서울성모병원 내과 전공의는 정부에 “지역의사가 (의무복무기간인 10년 이후에도) 해당 지역과 분과에서 평생 일할 수 있게 할 자신이 있느냐, 급하게 신설되는 공공의대와 커리큘럼으로 양성되는 의사들이 우리 가족과 친구·이웃들을 진료하게 될 때 터무니 없는 의료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만큼 의료의 질을 유지할 자신이 있느냐”고 반문한 뒤 “과거 부실 의대들의 실패에서 배우고 새 시대에 걸맞는 새 커리큘럼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