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주일새 학생·교직원 74명 확진…유은혜 "비수도권도 등교 인원 3분의 2 유지 권고"

시도 교육감 영상회의서 2학기 학사운영 방안 논의

유은혜 사회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9일 시·도 교육감과 영상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유은혜 사회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9일 시·도 교육감과 영상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



일주일 만에 전국에서 학생과 교직원 74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2학기 학사 운영에 비상이 걸렸다.

유은혜 사회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9일 오전 시·도 교육감과 영상 회의를 열고 “8월 11일부터 17일까지 일주일 동안 전국에서 학생 65명, 교직원 9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을 받았다”며 “특히 1주일간 확진자 74명의 77%인 57명이 서울과 경기에 집중됐으며 이외 부산을 비롯한 여러 시도에서도 17명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8월 11일 이후 불과 일주일 동안 발생한 확진 학생과 교직원이 등교수업을 시작한 5월 20일부터 발생한 숫자의 39%를 차지할 정도로 확산 속도가 무서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유 부총리는 “전국이 일일생활권인 우리나라 특성상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수도권 이외 지역이라 하더라도 학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 학교 밀집도를 적어도 3분의 2 수준으로 낮춰달라”고 시도교육감들에게 요청했다.

교육부는 코로나19가 전국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도권 이외 시·도가 9월 11까지 학교 내 밀집도를 3분의 2로 유지하도록 강력하게 권고했다. 앞서 교육부는 18일부터 9월 11일까지 서울·경기지역 유·초·중학교 학생 밀집도를 3분의 1, 고등학교는 3분의 2로 유지하도록 했으나 이를 비수도권에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특수학교는 밀집도를 3분의 2로 유지하되 지역·학교 여건을 고려해 결정하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실시하는 부산은 오는 31일까지 강화된 밀집도 최소화 조치를 유지하도록 했다.

유 부총리는 또 “수도권 방역 조치 강화 계획에 따라 수도권 지역 300인 이상 대형학원, PC방, 노래연습장 등 12종의 고위험시설은 집합이 금지된다”며 “수도권의 시도교육청은 지자체와 합동으로 현장 점검단을 구성해 대형 학원 운영 실태 등을 꼼꼼히 점검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시도교육청과 학교에서 학생들이 고위험시설과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하지 않도록 생활 지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덧붙였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