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이인영 "남북협력 종합 틀로 北이 신뢰할 변화 만들 것"

"의료·방역·기후 분야 구체적 남북 협력방안 마련"

"2045년 평화통일 희년되길... 진정한 광복 실현"

이인영 통일부 장관. /연합뉴스이인영 통일부 장관. /연합뉴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작은 교역’에서 출발해 보건의료, 공동방역, 기후환경 등 3개 분야에 대해 구체적인 남북 협력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교류 방식에서 벗어나 더 종합적인 남북협력의 틀을 만들어 북한의 신뢰를 얻겠다는 복안이었다.

이 장관은 21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수석부의장 정세현)는 통일연구원(원장 고유환)이 공동 주최한 ‘광복 75주년 기념 평화통일포럼’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먹·아·죽(먹는 것, 아픈 것, 죽기 전에 보고 싶은 것)에서 출발해 우리 삶에 밀접하고, 남북이 합의를 이루었던 보건의료, 공동방역, 기후환경의 3개 분야에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지금까지의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종합적이고 합리적으로 남북협력의 틀을 만들어 북한이 신뢰할 수 있고 우리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남북은 한반도라는 하나의 몸을 나눠 살아가는 생명공동체, 운명공동체”라며 “남북주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공동의 비전을 세우고 힘을 모으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시급한 협력과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는 남북의 지도자들이 지난 2018년 평양공동선언 등을 통해 호혜적 협력을 약속한 분야이기도 하다”며 “경계를 넘나드는 재해와 재난을 이겨내려면 남과 북도 군사분계선을 넘어 소통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이 장관은 또 “노약자, 어린이들의 아픈 곳을 낫게 할 약품과 물자가 정치적인 이유로 멈춰서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이것이 한반도 생명공동체로 살아가는 우리 시대의 ‘상식’이며 기본 자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취임 이후 저는 북측에 소독약, 방호복, 진단키트를 보내고 국제기구를 통해 영유아와 임산부를 위한 영양식을 전달하는 등의 ‘작은 결재’를 시작했다”며 “이제 남북 주민의 생명, 안전, 행복을 실현하기 위해 더욱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협력의 접촉면을 넓혀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제 제재에 대해서는 “제재 면제 협의 방식도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정치군사적 의제로서의 비핵화, 평화구조 정착, 경제 협력의 큰 담론도 뒤로하거나 잊고 지낼 문제는 아니다”라며 “정치, 군사, 안보의 측면에서 남북관계를 전면 복원시키고 한반도 평화경제의 공존과 번영의 길을 열어가는 노력도 결코 게을리 하지 않겠다”고 부연했다.

이 장관은 아울러 “올해 광복 75주년을 맞이하는 남북은 꼭 그만큼의 세월을 분단국가의 아픔과 냉전의 제약 속에서 살아왔다”며 “이제 확고한 비전을 가지고 광복 100주년을 맞는 2045년 8,000만 겨레가 기쁨으로 맞이할 평화통일의 희년을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우리 미래 세대는 화해와 공존의 어우러짐으로, 평화와 번영으로 가득한 더 큰 한반도에서 살아가길 바라고 그것이 우리 선열들이 꿈꾸었던 진정한 광복의 실현”이라고 설파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