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추미애 직무관련성 없다” 결론 내린 권익위에는 秋 전 보좌관이

秋 “임혜자, 남들이 가지 않는 길 앞서 가”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지난 1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정치분야 대정부 질문에 출석,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지난 1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정치분야 대정부 질문에 출석,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



추미애 법무부장관이 아들 서 모씨 사건의 수사 지휘권자인 것과 관련해 “직무 관련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린 국민권익위원회에 추 장관 전 보좌관이 비상임위원으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서울경제가 이날 권익위에 확인한 결과 추 장관 보좌관 출신의 임혜자 위원이 비상임위원으로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익위원회는 부패방지권익위법에 따라 위원장 1명, 부위원장 3명, 상임위원 3명 및 비상임위원 8명으로 꾸려진다.


비상임위원 중 한 명인 임 위원은 2008년 추 장관의 보좌관을 맡았고 올해 4·15총선에선 경기 광명갑에 예비후보로 나섰다. 지난해 12월 추 장관은 임 위원이 연 출판기념회에서 “남들이 주저하는 길도 그 길이 자갈길이든, 거친 물살을 헤쳐야 하든, 임혜자 전 선임행정관은 용기 있게 앞서 가려 한다. 쉬지 않고 현장을 뛰어다닌 임혜자의 삶은 천 개의 역경을 헤치며 만 명의 목소리를 듣는 것으로 채워졌다. 소통을 중시하는 문재인 정부가 능숙하게 갈등을 조정할 줄 아는 임혜자의 진가를 알아봤던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임혜자 국민권익위원회 비상임위원./권익위 제공임혜자 국민권익위원회 비상임위원./권익위 제공


임 위원은 2000년 이후 새천년민주당,통합민주당 당직자로 활동했고 2002년에는 대변인실 부국장으로 이낙연 대변인을 보좌했다. 2008년부터는 추미애 당시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일했다. 2017년 대선 이후로는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했다.

전날인 14일 권익위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자신의 아들 서 모씨 휴가 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동부지검의 지휘권자인 사실과 관련해 이해충돌에 해당하는지’ 묻는 질문에 “직무 관련성이 인정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인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