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온라인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면서 지방정부들이 앞다퉈 공공배달앱을 선보이고 있다. 민간 기업의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상공인 보호를 이유로 공공이 민간에 도전장을 내민 구도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급성장하고 있는 지역화폐와 공공배달앱이 결합하면서 시장을 얼마나 잠식할지 관심을 모은다.
6일 각 지방정부에 따르면 먼저 경기도에서 개발한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시범 서비스에 들어간다. 지난 4월 민간 배달앱의 수수료 인상 논란 이후 6개월여 만이다. 지역화폐 유통망, 데이터, 기술 등 공적 디지털 인프라 조성에 경기도가 투자하고, 앱 개발과 운영은 민간에게 맡겼다. 현재 화성·오산·파주 등 3개 지역을 공공배달앱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가맹점을 모집 중이다. 배달특급은 지역화폐 유통망과 연계해 가맹점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대전시는 지역화폐인 온통대전과 연계한 공공배달앱을 연내 출시할 계획이며 충북 제천시도 지역화폐(화폐모아) 결제시스템을 탑재한 ‘제천형 공공배달앱’ 개발에 착수했다. 광주시도 광주상생카드 가맹점과 연계할 수 있고 편의성과 지역 특성을 고려한 공공배달앱을 조기 구축하기로 했다. 개발 비용과 법률 검토 등을 이유로 그동안 난색을 보이던 울산시는 울산페이와 결합한 플랫폼을 구상하기 시작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지역 소상공인의 배달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면서도 소비자 선택 문제를 고려해 지속 가능한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며 “울산페이 앱의 기능 확장을 통해 상품구매까지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구시는 내년 1월 서비스를 목표로 ‘대구형 공공 배달플랫폼’을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일단 지자체가 자체 개발·운영하는 방식보다는 민간 사업자와 협업하는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출시한 공공배달앱 가운데 성공 사례로는 전북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가 있다. 지난 3월 전국 지방자치단체 처음으로 출시한 배달의 명수는 이용 수수료와 광고료를 받지 않고 소비자에게는 10%가량 할인 혜택을 줘 월평균 이용 건수가 3만여 건에 달할 만큼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지금까지 배달이 가능한 음식점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최근에는 꽃집과 떡집, 정육점 등으로 서비스 대상을 확대했다. 인천 서구가 운영하는 ‘배달서구’는 지역화폐인 서로e음을 연계해 한주에 1만 건이 넘는 주문이 접수되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충북 ‘먹깨비’, 서울 ‘제로배달 유니온’ 등도 이용자를 늘리고 있다.
소규모로 운영하는 앱도 등장했다. 전남 강진군이 읍내에서만 배달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강진배달’ 앱을 출시해 운영하고 있다. 현재 강진배달앱에는 치킨, 한식, 분식 등 8개 업종 40여개 점포가 등록돼 음식뿐 아니라 강진 특산품도 구매가 가능하다.
다만 지역화폐와 결합한 공공배달앱의 경우 한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혜택이 돌아간다는 단점도 있다. 또 세금으로 충당하는 개발비도 부담이다. 경기도는 공공배달앱 구축 예산만 21억원을 책정했고, 군산시도 배달의명수 개발에 1억3,000만원이 들어갔고 연간 1억5,000만원의 예산이 추가 투입된다.
민간배달앱과 차별성을 두지 못해 사업을 포기한 곳도 있다. 경남도는 지난 4월 민간배달앱의 수수료 인상 논란이 거세지자 공공배달앱 개발에 착수하기로 했지만 현실적으로 민간배달앱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질 것으로 판단해 포기했다. 경남 창원·양산시도 공공배달앱 개발을 잠정 보류했다. 전국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