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핀테크의 은행 산업 진출 확대가 계속되는 가운데 은행권은 빅테크의 접근이 어려운 자산관리(WM)·투자금융(IB)·무역금융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빅테크의 고객 접점이 은행보다 더 높기 때문에 미래에는 은행이 B2B(기업 대 기업) 상품 공급자로 역할이 축소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5일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연구원 세미나에서 ‘은행은 여전히 특별한가: 디지털금융의 확산과 은행의 대응’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연구위원은 “은행은 금융 안정성 확보의 근간”이라며 “경쟁이 심해진 상황에서 은행이 획기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은행의 강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그는 “전자급융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WM· IB·무역금융 등에서 경쟁력이 높은 은행은 디지털 전환의 충격을 덜 받는다”며 “자문·상담·자산관리·거액거래 등 기존 은행의 경쟁우위 부문에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 연구위원은 “빅테크와의 경쟁·은행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점포 방문 없이 모든 소매금융 관련 상품·서비스를 비대면 채널로 이용할 수 있는 은행만 생존할 것”이라며 “미래에는 프라이빗뱅커(PB) 서비스에 근접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의 비대면 24시간 제공이 소매금융 경쟁력의 척도가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오프라인 점포의 새로운 역할도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은행은 오프라인 점포나 고객과의 관계 등을 통해 신용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각종 비재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미래 은행 점포는 고객 상담과 민원 해결 창구로 탈바꿈될 전망이기 때문에 교차판매와 평판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발표 후 이어진 토론에서 업계 관계자들은 미래에는 규제를 통해 보장되는 은행만의 특별함은 없을 것이며, 빅테크와의 경쟁은 필연적인 상황이라는 것에 동의했다. 이형주 카카오뱅크 최고비즈니스책임자(CBO)는 “은행은 B2B 공급자로 역할이 축소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고객 접점을 플랫폼에 양보하고 업체와 더 좋은 관계 유지하는 쪽으로 가거나 고객에게 더 잘하거나가 은행의 선택 기로”라고 설명했다. 반면 한동환 KB국민은행 디지털금융그룹 부행장은 “은행은 고객에게 딱 맞는 ‘금융 집사’로 정서적 완전판매가 이뤄질 때 은행의 특별함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플랫폼 기업들은 플랫폼 안에서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서 잠들때까지 벗어나지 않게 하도록 하는 등 독점적 강화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며 “빅테크들이 규제와 감독체계 안으로 들어와 은행 산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