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문재인 당헌' 깬 민주당에 이언주 "명분 없고 탐욕스러워…선거서 심판해야"

이언주 전 미래통합당 의원/연합뉴스이언주 전 미래통합당 의원/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당 소속 선출직 공직자가 중대한 잘못으로 직위를 상실해 재·보궐선거를 실시하게 된 경우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도록’ 명시된 당헌을 전당원 투표를 통해 개정한 것과 관련, 이언주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이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다.

이 전 의원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권력에 중독되어 사사오입 당헌 개정 강행한 민주당, 4월에 심판해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민주당의 행보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은 기본적인 투표 성립 요건조차 갖추지 못한 전당원 투표로 부산시장 공천 강행을 공식화했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민주당 당 대표로 재임한 시기 명시한, ‘보궐선거의 귀책사유가 있으면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를 조항을 순식간에 무력화시켰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이 전 의원은 “민주당 현직 최고위원조차 당의 헌법에 해당하는 당헌 바꿔치기에 ‘송구하다는 말씀 외에는 드릴 말씀이 없다’고 했고, 원조 친노인 유인태 전 의원조차 ‘명분 없고 탐욕스럽다’고 비판했다”고도 적었다.

이 전 의원은 이어 “더 이상 민주당의 자성을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한 뒤 “내년 4월 보궐선거에서, 부산에서부터 ‘민주당만 빼고’ 모두 함께 국민을 우롱한 그들을 심판하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덧붙여 이 전 의원은 #민주당만_빼고, #민주주의_부활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았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2일 전당원 투표 결과 ‘중대한 잘못을 저지를 경우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는 당헌을 개정하기로 결정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연합뉴스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연합뉴스


민주당이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1일까지 ‘당헌 개정을 통한 내년 재보궐 선거 후보 공천에 대한 투표’를 실시한 결과, 찬성률은 86.64%, 반대는 13.36%로 나타났다. 투표 참여율은 26.35%였다.


해당 조항은 5년 전 문재인 대통령이 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의 대표를 맡은 시절 지금의 형태를 갖췄다.

관련기사



지난 2015년 7월 문재인 대표 시절 김상곤 위원장이 이끄는 혁신위원회는 무공천 사유를 ‘부정부패 사건’에 한정하던 것을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못’으로 확대했다. 지자체장들의 부정부패 뿐만 아니라 성추행과 같은 잘못 역시 당이 책임지겠다고 밝힌 셈이다.

민주당은 2년 뒤인 2017년 정당발전위원회를 통해서도 이같은 입장을 다시 확인했다. 부정부패로 재보궐 선거가 치러질 경우 원인제공 정당과 후보자에게 책임을 묻는 방안을 법제화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당시 민주당 정발위가 법제화하겠다고 밝힌 데는 “후보자의 부정부패로 재보궐 선거가 치러지면 선거관리 경비 등 막대한 부담이 국민에게 돌아가는 만큼 해당 정당과 후보자에게 각각 무공천, 선거비용 보전비용 환수 등으로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 강하게 반영됐다.

이에 야당은 “이낙연 대표 등 지도부가 박원순, 오거돈 두 사람의 성범죄에 대해 광화문에서 석고대죄 해야 한다”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같은 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 지도부를 향해 “세금으로 충당되는 선거비용 838억원 전액을 민주당이 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선거 공천을 결정한 민주당의 전당원 투표에 대해서는 “중국집 사장님들 모셔놓고 중식과 일식 중 뭐가 낫냐고 물어보는 것”이라며 “범죄자가 셀프 재판해서 스스로 무죄를 선고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국민에 대한 약속을 당원 투표만 갖고 뒤집을 수 있다는 게 온당한 것인지 모두가 납득이 가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중요한 것은 민주당은 정직성을 상실한 정당”이라고 지적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