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중국 대사 "시진핑, 코로나 안정되면 제일 먼저 한국 방문"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中 일관된 입장 안 흔들려”

트럼프 낙선 겨냥 “다자주의가 일방주의 이겨”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가 1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신시대 중국 국정운영의 평가와 미래 한중관계 재도약의 협력방안’ 포럼에서 주제발언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가 1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신시대 중국 국정운영의 평가와 미래 한중관계 재도약의 협력방안’ 포럼에서 주제발언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가 18일 미국 행정부 교체로 인한 대북정책의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한반도 대화와 발전, 비핵화에 대해선 중국이 일관된 입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겠다”고 밝혔다.

싱 대사는 이날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개최된 ‘신시대 중국의 국정운영 평가와 미래 한중관계 재도약의 협력방안’ 고위급 세미나 중 기자들과 만나 “중한 양국 공동의 이익이 포함된 것이고 지역 평화, 나아가 세계 평화에 도움이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바이든 민주당 행정부가 들어서더라도 북한과의 대화 기조를 이어나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문제에 대해서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안정되면 제일 먼저 (시 주석이 방문할 국가로) 한국을 지정했다”며 “아직은 그것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코로나19 전파 상황을 보면서 방한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싱 대사는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의 방한 문제에 대해서도 말을 아꼈다.

관련기사



싱 대사는 세미나 축사를 통해 변화하는 국제 정세와 관련해 “다자주의가 반드시 일방주의를 이겨낼 것임이 역사를 통해 증명됐고 앞으로도 증명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에게 패배한 사실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싱 대사는 “대항이 아닌 대화, 동맹이 아닌 동반자로서의 새로운 형태의 국제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세미나에 참여한 조대엽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은 “오늘 세미나에서 남북중의 동북아 보건협력공동체를 통한 환경·의료 협력 방안이 제안됐으면 한다”고 주문했고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한중 양국이) 공동으로 노력해야한다”며 “이것이 동북아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해 최우선적으로 노력해야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김인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