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서울시민 50.6% "보궐서 정부·여당 심판" vs 38.7% "힘 실어야"

야당에 힘 줘야 50.6% VS 여당에 힘 줘야 38.7%

더불어민주당·열린민주당 '안정론'에

국민의힘·국민의당 '심판론'에 쏠려

보수 73.6% 심판론 VS 진보 65.8% 안정론




서울시민 절반가량이 내년 4월 열릴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정부·여당 심판론’에 공감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8일 공개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한 언론사의 의뢰로 지난 5~6일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유권자 805명을 대상으로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프레임(기본 성격) 공감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정부·여당을 심판하기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이 50.6%로 집계됐다.

반대로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정부·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은 38.7%, ‘잘 모름’은 10.8%를 차지했다. ‘심판론’과 ‘안정론’ 간의 격차는 11.9%포인트로 오차범위(표본오차 95% 신뢰 수준 ±3.5%p) 밖이다.


지지 정당별로 응답이 나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층(86.5%)과 열린민주당 지지층(74.6%)은 ‘안정론’에 크게 공감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93.3%)과 국민의당 지지층(87.7%)은 ‘심판론’으로 쏠렸다. 정의당 지지층은 안정론(40.3%)과 심판론(41.6%)의 의견이 팽팽하게 나뉘었다. 무당층에선 심판론이 55.6%로 안정론(7.2%)보다 우세했다.

관련기사



이념별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보수층 73.6%는 심판론을, 진보층은 65.8%가 안정론에 공감했다. 중도층은 심판론(57.1%)이 안정론(33.9%)을 앞섰다.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심판 59.5% vs 안정 31.8%) , 60대(65.9% vs 28.8%), 50대(52.0% vs 44.0%), 30대(47.4% vs 40.7%), 40대(46.1% vs 44.0%), 18·19세 포함한 20대(39.1% vs 38.6%) 순으로 심판론이 우세했다.

성별로는 남성은 절반이 넘는 58.6%가 심판론을 선택했지만, 여성은 안정론(43.9%)과 심판론(43.1%)이 팽팽했다.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강지수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