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 28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주재한 ‘제9회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원자로 기술 개발 현황과 향후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정 총리는 “최근 에너지 이용에 있어 안전과 친환경의 가치가 중요시되고 신재생에너지 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원자력 이용 정책 또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때”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대형 원전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를 대비한 소형 원자로 설계 역량에 힘을 쏟겠다는 계획이다. SMR은 300㎿e 이하로 공장 제작, 현장 조립이 가능한 소형 원자로다. 정부 관계자는 “초기 SMR 시장의 창출을 위해 그간 개발된 스마트(SMART) 원전의 최초 호기 건설과 국제 협력을 통한 수출 시장 확대를 추진할 것”이라며 “오는 2030년대 세계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져갈 수 있는 ‘한국형 혁신소형모듈원자로(i-SMR)’ 개발도 서두르겠다”고 말했다. 발전 분야에서 비발전 분야로 확대되는 SMR 시장의 다변화에 대응해 비경수형 SMR 기술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2025년까지 ‘혁신 기술 실용화 연구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산학연 공동연구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라며 “2030년까지는 강점 기관을 선정해 공동 연구를 수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서둘러 구체안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멈춰 있는 SMR의 실증 투자 계획을 서둘러 잡고 SFR 파이로프로세싱 등 사용 후 핵연료 재활용 연구개발(R&D) 사업도 재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SMR에서 앞서 있는 미국과의 협력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채영 한국원자력연구원 혁신원자력시스템연구소장은 앞서 서울경제와 가진 인터뷰에서 “우리나라가 미국과 다목적 SMR 등 차세대 원전 개발에 공조하고 사용 후 핵연료 관리·재활용(파이로프로세싱)을 위한 공동 R&D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