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부문별 전문성 강화·노드 도입…한화생명, 조직개편 실시

보험·신사업·전략 등 부문별 전문성 강화

신조직체계 구축으로 근무방식 변화 도모




한화생명이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3개 부분으로 조직을 나눠 부문별 전문성을 강화하는 한편 단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소규모 조직형태인 ‘노드’도 도입했다.

한화생명은 4일 이전 1부문 1총괄 15개 사업본부 66개팀에서 3부문 1총괄4사업본부 11클러스터 35개팀으로 조직 개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보험부문, 신사업부문, 전략부문의 3개 부문 체계로 구분해 각 부문별로 전문성을 강화하는 운영체계를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자율책임하에 단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소규모 조직인 노드 형태도 신규 도입했다.


한화생명이 조직개편을 실행한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가져온 언택트 시대로의 환경변화, 보험시장 포화와 대형GA의 시장 지배력 확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금융업 진출까지 보험업을 둘러싼 경쟁이 심화함에 따라 신속하고 효율적인 조직 구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우선 보험부문의 경우 보험영업, 투자사업 등 보험사업 본연의 기능 및 지원조직으로 구성됐다. 개인영업본부, 전략채널본부, 투자사업본부, 사업지원본부 등 4개 사업본부로 이뤄졌다. 또 상품개발, 보험심사, 언더라이팅 등 영업 지원을 위한 업무가 포함된 사업지원본부를 신설해 영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조직 체계를 구축했다.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여승주 한화생명 대표.


이번에 새롭게 신설된 신사업부문은 기존의 디지털 영역을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디지털 신기술 기반의 솔루션 신사업 및 전략적 투자를 추진한다. 또한 전략부문에서 수립되는 새로운 사업발굴분야에 대한 사업화도 함께 검토하고 집행한다.


신사업부문은 LIFE 솔루션, 파이낸셜 솔루션, OI/투자, 빅데이터, 테크, 서포트 등 6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됐다. 상호 연관성이 높은 노드를 탄력적으로 연계·운영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스터는 상호 연관관계가 깊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노드들의 집합체를 말한다.

관련기사



최근 새로운 보험사의 사업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는 헬스케어부문은 LIFE 솔루션 클러스터에 배치돼 미래형 상품 출시를 담당하게 된다. 파이낸셜 솔루션 클러스터는 디지털 기반 투자연계형 상품을 개발, 관리하게 된다. 신사업부문장은 기술전략실장을 맡고 있던 이창희 상무가 담당한다.

전략부문도 신설했다. 전략부문은 최고디지털전략책임자(CDSO)인 김동원 전무가 겸임한다. 전략 부문은 미래전략, 거버넌스, 해외, 컴플라이언스, 전략지원 등 5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됐으며 회사가치 증대를 위한 전략 실행 및 해외 진출 지역 신사업 전략을 수행하는 한편 미래신사업전략을 발굴·수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신규투자에 대한 발굴도 진행한다. 전략부문에서 수립된 사업전략은 신사업부문에서 최종 사업화를 진행하게 된다.

한화생명은 각 조직의 유기적인 연결 및 협업을 통해 디지털 금융을 선도하고 보험 및 신사업 분야에서 성과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