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이주열 “금융 불균형 누증 위험…필요땐 안정화 조치”

한국은행 총재 신년사

"통화정책 운용에 '고용' 중요하게 고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신년사를 통해 “통화정책은 우리 경제가 안정적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될 때까지 완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2021년은 세계 경제와 국제 교역이 점차 개선되고 국내 경제도 완만히 회복될 것”이라면서도 “코로나19의 재확산, 무역 갈등 등 아직 여러 난관이 남아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새해에도 한동안 기준 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0.50%로 동결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이 총재는 이어 “고용 상황을 통화정책 운용에서 중요한 판단 요인으로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제공=한은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제공=한은



그는 또 증시·부동산 등 자산 시장의 자금 유입, 민간 신용 증가 등으로 금융 불균형 누증 위험을 지적하며 “금융 안정 상황에 한층 유의해야 한다”고 다짐했다. 이 총재는 “필요하다면 금융·외환 시장의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으로 저출산·고령화와 계층 간 불균형 심화를 꼽고 취약 부문에 선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에 대해서는 “가상 환경에서 파일럿 시스템 구축과 시험을 계획대로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지원기자 jw@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