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바이든, 신설 ‘아시아 차르’에 캠벨 전 차관보 낙점"

FT 보도...오바마 시절 동아태 차관보 역임

중국 견제 안보구상 '아시아 회귀 전략' 설계

동맹 공조 속 對중국 압박 전면에 나설 듯

커트 캠벨커트 캠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신설 직책인 ‘아시아차르’에 베테랑 외교정책 전문가인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를 임명할 계획이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3일 보도했다.

미중 관계의 중요성을 고려해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산하에 신설될 것으로 전해진 아시아차르는 중국에 맞서 한국·미국·일본 동맹 복원 등 아시아 지역 업무를 총괄하며 전권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의 황제 호칭인 차르는 미국 행정부가 특정 분야를 총괄하는 책임자에게 부여하는 특별직이다.


아시아 외교 전문가로 꼽히는 캠벨 전 차관보는 지난 2009~2013년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로 일하며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외교를 총괄했다. 당시 중국 견제용 안보 구상인 ‘아시아 회귀 전략’을 설계했으며 바이든의 대통령 당선 이후 국무부 부장관 후보 등으로 거론돼왔다.

관련기사



대중국 강경론자인 그는 최근 ‘포린어페어스’ 기고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아시아 동맹에 엄청난 부담을 줬다면서 “미국은 인도·태평양 지역 전략에 있어서 중국의 도전을 완화시키기 위한 동맹 공조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캠벨 전 차관보는 2년 전에도 포린어페어스 기고에서 미국의 외교정책이 수년간 중국의 방향을 잘못 예측했다면서 대중 접근법에 대한 명백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캠벨 전 차관보는 아시아차르로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급부상하는 중국에 맞서 동맹 공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경제와 인권 분야 등에서 대중 압박의 전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정보기술(IT) 기업을 배제하는 ‘클린 네트워크’, 다자 안보 협의체 쿼드(Quad) 등에 한국의 참여를 요구하는 미국의 목소리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