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 260만개…전년보다 15만개↑

노인 일자리 덕에 60세 이상 23.2% 증가

13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이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13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이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가 전년보다 15만개 넘게 늘면서 통계작성 이래 가장 크게 증가했다. 공무원 수 증원,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부 일자리사업의 영향이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따르면 공공부문 일자리는 260만2,000개로 전년보다 6.1%(15만1,000개) 늘어났다. 증가 폭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 가장 컸다.


일반 정부(222만개)는 전년보다 12만3,000개(5.9%) 늘었고, 공기업(38만2,000개)은 2만8,000개(7.8%) 증가했다.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9.5%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경찰·소방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공무원 수가 늘었고,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효과도 작용했다.

관련기사



전 연령층에서 일자리가 증가했지만, 특히 60세 이상 일자리가 19만5,000개로 전년보다 23.2%(3만7,000개) 급증했다. 29세 이하(41만5,000개)는 3만4,000개(8.8%), 30대(66만5,000개)는 2만3,000개(3.6%), 40대(71만5,000개)는 1만4,000개(2.0%), 50대(61만2,000개)는 4만3,000개(7.6%)씩 각각 늘었다. 근속기간별로 보면 3년 미만이 30.4%로 가장 많았고 20년 이상(22.5%), 10~20년 미만(22.1%), 5~10년 미만(15.0%) 순이었다.

우리나라 정부기관 일자리 199만7,000개 중 공무원이 차지한 일자리는 135만9,000개(68.1%)로 비공무원(63만7,000개·31.9%)의 2.1배 수준이었다. 정부기관의 평균 근속기간은 11.8년이었다. 공무원은 15.2년으로 비공무원(4.3년)의 3배를 훌쩍 넘었다.
/세종=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