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올해 취약계층 공공일자리 4,300여개 창출

경기도북부청사 전경경기도북부청사 전경




경기도는 올해 31개 시·군과 코로나19 확산으로 심화되고 있는 고용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과 ‘지역방역 일자리 사업’으로 모두 4,300여개의 공공일자리를 창출한다고 21일 밝혔다.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은 지역자원 활용형, 지역기업 연계형, 서민생활 지원형, 지역공간 개선형 4개 유형로 추진된다. 31개 시·군에서 마을 가꾸기, 취약계층 집수리 등 총 207개 사업을 마련해 1,852개의 공공일자리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사업 대상은 2인 가구 이상의 경우 소득이 기준중위소득 65% 이하이면서 재산이 3억원 미만이다. 1인 가구는 기준중위소득이 120% 이하가 대상이다. 65세 미만은 주 40시간 이내, 65세 이상은 주 25시간 이내 근무한다.

관련기사



지역방역 일자리 사업은 올해 시행되는 신규 사업이다. 코로나19 등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공공일자리를 운영해 지역 방역역량을 강화하고 취업취약계층의 고용 및 생계를 지원한다.

참여자들은 다중이용 및 공공시설 등에서 시설·물품 소독, 발열 체크 및 출입 관리, 거리두기 안내, 방역수칙 점검 등을 수행하게 된다. 도 및 31개 시·군에서 총 110개 사업을 추진해 2,534개의 공공 일자리를 만들 예정이다.

사업 대상은 코로나19로 실직 및 폐업한 도내 취업 취약계층이다. 주15~3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하되 업무 특성을 고려해 주 30~40시간까지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양 사업에 참여하는 임금은 2021년도 최저임금(시급 8,720원) 기준으로 1일(8시간 기준) 6만9,760원이다. 경기도는 이를 위해 올 한해 국비 110억4,400만원과 지방비 163억1,400만원을 합쳐 총 273억5,80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할 예정이다.

현병천 경기도 일자리경제정책과장은 “코로나19 경제방역 대책으로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일자리 취약계층의 고용과 생계 지원에 적극 힘쓸 것”이라며 “매주 시·군의 채용 계획 및 모집 일정 등을 중점 관리하고 조기에 집행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