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IMF "코로나에 전세계 빚 2차 세계대전 수준…GDP의 98%"

선진국 부채 비율 급증…美 108%→129%

"코로나 대응, 정부 지출 너무 일찍 줄이진 말아야"

지난해 각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해 지출을 늘림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제2차 세계대전 수준으로 악화됐다. 사진은 미국 워싱턴DC 본부에 위치한 국제통화기금(IMF) 빌딩. /로이터연합뉴스지난해 각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해 지출을 늘림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제2차 세계대전 수준으로 악화됐다. 사진은 미국 워싱턴DC 본부에 위치한 국제통화기금(IMF) 빌딩.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각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해 지출을 늘리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제2차 세계대전 수준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의 재정 모니터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지난해 말 현재 세계 공공부채는 89조 6,000억 달러(약 9경 8,425조 7,000억 원)로 GDP 대비 98%에 달했다. 2019년말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은 84%였다.

관련기사



특히 선진국은 이 비율이 2019년 105%에서 지난해 123%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미국의 경우 108%에서 129%로 급등했다. IMF는 선진국은 1990년대 이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2배 이상으로 올랐지만 이자 비용은 절반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IMF는 “재정건전성에 대한 경계심을 유지하고 적자 재정으로 인한 물가 상승에 유의해야 한다”면서도 “각국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조기에 정부 지출을 축소하지는 말아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