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4 공급대책 앞두고 더 오른 서울 집값

자료=한국부동산원자료=한국부동산원




역대급 공급 대책을 앞두고 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전주보다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폭등했던 지난해 7월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경기권 아파트도 전주에 이어 역대 최고 상승률을 경신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갔다.



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통계를 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전주보다 0.01%포인트 오른 0.10%를 보였다. 서울 집값이 크게 오른 지난 7월 초 0.11%의 변동률을 기록한 후 가장 높은 수치다. 중저가 단지가 밀집했거나 재건축 등 정비 사업이 진척되고 있는 곳 위주로 올랐다. 노원구가 0.12%에서 0.15%로, 관악구도 0.09%에서 0.13%로 상승률이 크게 뛴 것이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3구의 상승세도 여전했다. 강남구와 서초구는 전주 대비 0.01%포인트 올라 각각 0.10%와 0.12%를 기록했다.

경기 지역 아파트도 크게 올랐다. 지난주 0.46% 오르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던 경기권 아파트 매매가는 이번 주 이보다 더 오른 0.47%의 변동률을 보이며 기록을 경신했다. 특히 양주는 1%대를 넘는 1.0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의왕도 과천과 인접한 내손동과 포일동을 중심으로 1.09% 올랐다. 교통 호재가 있는 남양주도 0.96%라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방 아파트 값 상승 폭은 전주 대비 둔화됐다. 지난주 0.25%에서 이번 주 0.24%로 0.01%포인트 낮아진 것. 단 비규제 지역인 강원과 제주의 경우 상승 폭이 지난주보다 커졌다. 강원은 0.20%에서 0.26%로, 제주도 0.19%에서 0.22%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전국 아파트 전세가 상승률은 지난주보다 확대된 0.24%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0.22%에서 0.23%로, 지방도 0.24%에서 0.25%로 소폭 올랐다.

반면 서울은 전주보다 0.01%포인트 내린 0.11%를 기록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역세권이나 학군 양호 지역, 또 중저가 단지를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되지만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일부 지역은 매물이 누적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경기권 아파트의 전세가도 많이 올랐다. 지난주 0.27%보다 0.02%포인트 더 오른 0.29%를 기록한 것이다. 남양주가 0.88%, 의정부가 0.72%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