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美 이어 英과도 ‘언론 전쟁’ 시작했다

BBC의 신장위구르 보도에 외교부 ‘발끈’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캡처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캡처



중국이 미국에 이어 영국과도 ‘언론 전쟁’을 시작했다.

5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전날 저녁 영국 BBC의 신장위구르 관련 중국 비판 보도와 관련해 BBC 베이징 지국장에 ‘엄정 교섭’을 제기했다. 중국은 특정한 사안에 대해 외교 경로로 강력한 항의를 할 경우 ‘엄정 교섭’이라는 용어를 쓴다.


앞서 BB는 중국 정부가 신장위구르 지역에서 운영하는 재교육 수용소의 무슬림 여성들이 조직적으로 성폭행을 당했다는 보도를 내놓은 바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BBC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한 방송에서 이 문제를 정치와 연결 짓고 이데올로기적 편견으로 보도했다”며 항의했다.

중국 관영 매체들도 정부 편을 들고 나섰다.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중국 신장 재교육 훈련소에서 여성들에 대한 조직적 강간, 성적 학대, 고문이 있었다는 BBC 보도는 증거가 불충분하다”면서 “증언을 한 여성은 신장의 어떤 훈련소에도 간 적이 없고, 어떤 수술도 받은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영국도 맞대응에 나섰다. 영국 정부는 런던에 유럽본부가 있는 중국국제텔레비전(CGTN)의 방송 면허를 취소했다. 영국의 방송·통신 규제기관인 오프콤은 “자체 조사 결과 CGTN은 독자적인 편집권 없이 공산당 지휘에 따라 방송을 내보내 국내법을 위반했다”며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중국이 외교상 격렬한 표현을 사용하고 영국도 중국 관영매체의 면허 취소를 단행함에 따라 갈등이 악화, 양국 주재 특파원의 추방 조처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미 지난해부터 미국과 ‘언론 전쟁’을 진행 중이다. 미국은 중국 최대 국영 뉴스통신사인 신화통신과 CGTN, 중국국제방송, 중국일보 등 5개 중국 관영 매체를 ‘언론사’가 아니라 해당 국가 정부의 통제를 받는 ‘외국 사절단’으로 지정하는 제재를 가했다.

CGTN는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도 발을 들여놓지 못하게 된 셈이다.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의 베이징 주재 기자들을 추방하는 것으로 맞보복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