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지난해 김치 수출 사상최대 …일본, 미국 이어 중동·섬나라까지 80여개국 진출

수출 급증에 무역적자 8년 만의 최소

지난달 6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판매 중인 김치./연합뉴스지난달 6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판매 중인 김치./연합뉴스




중국의 김치 종주국 억지주장에도 지난해 국내 김치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맞물려 발효 음식인 김치가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퍼진 것이 일조했다. 수출 지역도 일본과 미국, 홍콩 등 전 세계 80여 곳에 달했다.

8일 관세청과 식품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 수출액은 1억4천451만 달러로 전년보다 37.6% 증가했다.

이는 기존 최대치인 2012년의 1억661만 달러를 8년 만에 넘어선 것이다.

국가별로 수출액을 보면 일본이 7천110만 달러로 전체의 절반 가까이인 49.2%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미국(2천306만 달러), 홍콩(776만 달러), 대만(587만 달러), 호주(564만 달러), 네덜란드(515만 달러)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우루과이(106만 달러) 등 남미와 아랍에미리트(73만 달러)·카타르(23만 달러) 등 중동 국가들도 있다. 사이판 등의 섬으로 구성된 북마리아나 군도(13만 달러)를 비롯해 태평양 섬나라들에도 수출됐다.

김치 수출액이 급증한 것은 한국 김치에 대한 인지도가 꾸준히 높아진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면역력 강화 음식으로 주목받았기 때문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주요 김치 수출업체로는 '종가집' 브랜드를 운영하는 대상과 '비비고' 브랜드를 판매하는 CJ제일제당 등이 있다.

CJ제일제당은 자사 김치 수출 규모가 지난해 25%가량 증가했고 미국 시장 수출은 45% 정도 급증했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한국 김치에 대한 인지도는 수년 전부터 높아져 왔는데 지난해 코로나19로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수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1억5천243만 달러로 전년보다 16.4% 늘었다.

김치 무역수지는 791만 달러 적자로 2012년(-423만 달러) 이후 8년 만에 가장 작았다.

/세종=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


세종=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