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쌍용차·한국GM도 풍전등화 …"출구 못찾으면 공멸"

[韓 철수 카드 꺼내 든 르노]

높은 임금·판매 부진에 적자 수렁

미래차 준비도 미진해 앞길 캄캄

최악 땐 한국사업 전멸 가능성도







르노그룹이 르노삼성자동차에 강력한 경고장을 보낸 가운데 한국GM과 쌍용자동차의 운명도 풍전등화다. 한국GM과 쌍용차 모두 높은 인건비, 판매 부진 등으로 인한 적자 수렁에 빠진 데다 미래차 준비까지 미진해 앞날을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미 인도 마힌드라는 거액의 손실을 감수하고 쌍용차에서 손을 뗐고 최악의 경우 미국GM도 한국 사업을 철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한국GM과 쌍용차는 수년째 적자 행진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10월만 하더라도 흑자 전환 가능성이 나왔던 한국GM은 노조의 파업으로 7년 연속 적자가 사실상 확정됐고 쌍용차는 지난 2017년 이후 4년 연속 적자다. 한국GM은 지난해 내수와 수출을 합친 판매량이 36만 8,453대에 그치며 2019년보다 11.7% 줄었다. 2018년(46만 2,871대)과 비교하면 10만 대가량 쪼그라든 것이다. 쌍용차는 더 심각하다. 지난해 판매량이 10만 7,416대로 전년(13만 5,235대) 대비 20.6% 감소했다. 손익분기점을 한참 하회하는 판매량을 기록하며 쌍용차는 지난해 매출 2조 9,502억 원, 영업 손실 4,235억 원이라는 낙제점에 가까운 경영 성적표를 받았다.



미래차 전략 부재와 실행 자원 부족은 이들 기업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다. GM은 이미 기업 경영의 축을 전기차로 돌렸다.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12일 CES 2021 기조연설에서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분야에 270억 달러(약 30조 원)를 투자하고 새 전기차 모델 30여 종을 출시하겠다”고 했다.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의 생산과 판매를 모두 중단하는 게 GM의 목표다. 이 계획 어디에도 한국GM의 역할은 찾아보기 어렵다. 현재 한국GM에는 내연기관 차량만이 배정돼 있을 뿐이다.

관련기사



한국GM의 장기 생존을 위해서는 전기차 물량 확보가 필수다. 그러나 생산 단가가 높고 공급 불안정성까지 겹친 한국GM에 본사가 핵심 차종인 전기차를 배정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은 “수출 대상 고객(GM 본사)은 당연히 공급의 안정성을 기대하지만 한국은 잦은 파업으로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속적인 파업과 교섭 등 한국의 노동 관행과 규제의 불확실성이 외국 기업의 투자 의욕을 저하시킨다”며 “미국은 노사 협상 주기가 4년이지만 한국은 1년으로 짧다”고 지적했다. 최악의 경우 GM이 산업은행과 2018년 맺은 ‘10년간 한국 사업을 유지한다’는 약속을 파기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쌍용차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지난해 12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며 자율구조조정지원(ARS) 프로그램에 들어갔지만 ‘마힌드라·산업은행·HAAH오토모티브·쌍용차’ 4자 협의체가 어그러지며 매각 협상은 안갯속이다. 쌍용차는 마지막 카드로 ‘P플랜(사전회생계획안)’을 꺼내 들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대로라면 ARS 프로그램이 끝나는 이달 말 쌍용차의 회생절차 돌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산업은행은 ‘P플랜 진행이 불가할 경우 통상의 회생절차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입장을 명확히 했다. 업계 관계자는 “산은이 지난해부터 쌍용차 회생 방안을 고민했지만 자체 생존은 어려운 것으로 결론 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오랜 기간 적자가 누적되며 미래차 전환을 위한 준비가 미진한 쌍용차가 흑자 전환을 하기는 어렵다고 본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계 완성차 3사의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며 ‘적자 전환→정부 지원’이라는 악순환의 굴레가 반복되고 있다”며 “한국GM과 르노삼성의 경우 글로벌 본사가 인정할 정도의 생산 경쟁력 회복이 시급하고 쌍용차 역시 임금 대폭 삭감 등 노사의 결단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종갑 기자 gap@sedaily.com


서종갑 기자 gap@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