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대, 학내 신속 PCR 검사 도입 추진…캠퍼스 운영 정상화될까

18일 중대본에 시범사업 시행 가능 여부 문의

서울대 정문. /연합뉴스서울대 정문. /연합뉴스




서울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캠퍼스 운영을 정상화하기 위해 학내 신속 유전자증폭(PCR) 검사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19일 서울대에 따르면 서울대는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등에 공문을 보내 신속 PCR 진단시약 등 9개 시약을 학내 코로나19 양성자 선별 용도로 사용하는 시범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지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서울대 관계자는 "캠퍼스 운영 단계적 정상화와 학습권 침해 해소 취지에서 이 같은 방안 도입을 고려하게 됐다"며 "자세한 추진 계획은 중대본의 결정이 나야 공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서울대는 지난해 1학기부터 전체 과목을 A~D 등 4개로 구분해 대면수업일수에 차등을 두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학습권 침해 우려가 제기돼 왔다. 특히 실험·실습으로 인해 등교가 불가피한 대학원생 등의 피해가 컸다. 이에 따라 서울대도 우선 자연대·공대 소속 대학원생 등을 대상으로 신속 PCR 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신속 PCR 검사는 일반 PCR 검사에 비해 정확도는 낮지만 1시간 정도면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과 식약처는 9개 회사의 신속PCR검사 시약을 무증상 응급실 내원환자에게만 사용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서울대가 중대본 등에 승인 검토를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최근 경기 여주시는 지난해 12월 전국 최초로 신속 PCR 검사를 도입해 무증상 확진자를 찾아내는 데 활용한 바 있다.

/김태영 기자 youngkim@sedaily.com


김태영 기자 youngk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