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이란 대통령 "미 경제제재 해제해야 핵 협상 가능"

"트럼프 경제 테러는 범죄…이란은 핵합의 지켜내"

하산 로하니 대통령 /EPA연합뉴스하산 로하니 대통령 /EPA연합뉴스




미국과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이란의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경제 제재를 해제해야만 협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24일(현지시간) 이란 정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로하니 대통령은 “트럼프(전 미국 대통령)의 경제 테러는 범죄에 해당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새 행정부는 이란에 대한 경제 테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그것이 문을 열고 함께 회담하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이어 “조 바이든 행정부는 이미 트럼프의 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 정책이 실패했음을 여러 차례 인정했다”며 “미국의 새 행정부는 반드시 트럼프의 정책을 폐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핵합의에 대해서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파기했음에도 핵합의를 지켜낸 것은 이란”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란은 핵합의의 모든 약속을 완전히 이행한 유일한 당사자”라며 “미국과 유럽도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이란은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재임 당시인 2015년 미국과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타결했다. JCPOA는 이란의 핵 활동을 제한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받는 대신 미국의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그러나 2018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핵합의 파기를 선언하자 이란은 2019년 5월부터 단계적으로 핵합의 조항의 이행 범위를 축소했다.

핵합의 복귀를 천명한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자 미국과 이란은 JCPOA 복원을 위한 협상을 시작할 것으로 점쳐졌으나, 양측은 모두 상대방이 먼저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며 신경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이에 이란은 전날부터 IAEA의 이란 핵 시설 내 감시 카메라 접근을 거부하는 등 핵사찰을 대폭 제한했다.

/노희영 기자 nevermind@sedaily.com


노희영 기자 nevermind@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