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구 수유리에 있는 애국선열·광복군 합동묘역과 경기 안성 전몰군경 합동묘역이 국가관리 묘역으로 지정됐다.
국가보훈처는 수유리 애국선열·광복군 합동묘역과 안성 전몰군경 합동묘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유족 등과의 협의를 거쳐 국가관리 묘역으로 지정된 첫 번째 사례라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은 ‘서울 수유 국가관리묘역’으로, 안성 전몰군경 합동묘역은 ‘안성 사곡 국가관리묘역’으로 명칭이 변경된다.
이 묘역들을 국가가 관리하는 것은 지난해 개정해 시행된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조치다.
이 법률은 국립묘지 외의 장소에 안장된 독립유공자 및 국가유공자 합동묘역을 국가 관리 묘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유족이 없는 묘소를 국립묘지로 이장할 경우 이장비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독립유공자 및 국가유공자 합동묘역은 소유자와 관리자, 유족의 요청을 받아 국가 관리 묘역으로 지정해 국립묘지에 준해 관리한다.
보훈처는 이들 묘역에 전담 직원을 배치하고, 안내판과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등 국립묘지에 준하는 수준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서울 수유리 묘역에는 김창숙·손병희·신익희·여운형·이시영·이준(이상 대한민국장 포상) 선생 등 독립유공자 32명이 안장돼 있다. 안성 묘역에는 6·25 참전용사 58명이 영면해 있다.
보훈처는 수유리와 안성 합동묘역을 포함해 전국의 산재해 있는 독립유공자와 국가유공자 합동묘역 57개소를 국가 관리 묘역으로 지정해 체계적인 관리를 할 예정이다.
독립유공자 합동묘역은 서울 강북구에 있는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 광복군 합동묘역을 비롯해 서울 중랑구 망우공원묘지(애국선열묘역),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삼의사 및 임시정부요인 묘역, 경기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묘역과 고주리 애국선열 6인 순국 묘역 등 12개소다.
국가유공자 합동묘역은 6·25전쟁 전몰군경 등이 안장된 곳으로 전국에 45개소에 달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9년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합동묘역을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무연고 국가유공자 묘소를 국가가 책임지고 돌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보훈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방자치단체, 유족 등과 협의를 통해 지방에 산재해 있는 합동묘역을 추가로 국가관리 묘역으로 지정할 것”이라며 “국가를 위해 헌신한 분들의 명예와 유가족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mykj@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