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풍력발전소의 발전 효율(이용률)이 지난해 전국 평균 24%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풍력발전소의 발전 효율은 인천 11%, 경기 16%, 경남 18%, 전남 23%, 제주·경북·강원 26%였다. 바람이 제대로 불지 않아 풍력발전소의 발전량이 전체 설비 용량의 4분의 1에 불과했다는 얘기다. 풍력발전소가 자칫 쓸모없는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게 아닌지 염려된다.
이런데도 정부는 2030년까지 12GW의 풍력 단지를 조성해 세계 5대 해상 풍력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을 밀어붙이고 있다. 특히 2030년까지 48조 원을 들여 전남 신안 앞바다에 초대형 해상 풍력 단지를 조성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한국은 풍속이 연평균 초당 7m 정도로 느린 편인데다 풍향도 일정하지 않다. 바람이 초당 10~11m 속도로 한 방향으로 불어 발전 효율이 50%를 넘는 북유럽과는 여건이 다르다. 지난해 국내 풍력 발전 효율이 24%에 그친 것도 이 때문이다. 환경 훼손 문제도 심각하다. 대략 남산타워 크기 2,000대가량의 풍력발전기에 땅속 수십m 기초공사, 그리고 바다와 육지를 가로지르는 고압선 철탑도 세워야 한다.
정부는 탄소 중립 시대를 위해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치를 65~80%로 올리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발전 효율이 20%대에 불과한 풍력 발전으로는 어림도 없다. 태양광 발전도 기후의 영향을 받는 것은 마찬가지다. 미국 텍사스의 대규모 정전 사태가 원전 대신 이상 한파에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풍력과 천연가스 발전을 과도하게 늘렸기 때문이었다는 비판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프랑스는 최근 원전의 수명을 10년 더 늘렸다. 정부는 ‘탈(脫)원전’ 도그마에 빠져 리스크가 많은 신재생에너지에 올인하는 계획을 접고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등을 적절히 배합하는 ‘에너지 믹스’ 전략으로 나아가야 한다.
/논설위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