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시장이 연이은 적자 국채 발행에 약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적자 국채 발행 규모가 기존 예상대로 9조 9,000억 원을 유지하며 시장 충격 우려는 덜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추가 국채 발행을 통한 재원 조달 가능성이 남아 있는 등 불확실성이 여전하다. 특히 정부가 잇따라 국채를 대규모로 발행함에 따라 경제의 정부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리스크로 지적됐다.
금융 투자 업계에 따르면 25일 기준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2.8bp(1bp=0.01%) 내린 연 1.967%에 거래를 마쳤다. 국고채 3년물 금리 역시 2.7bp 하락한 연 1.088%에 마감했다. 이재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물량 공급 부분은 이미 이야기됐던 부분으로 특별히 시장 충격을 주는 부분은 크지 않다”며 “최근 20년물과 30년물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는 등 시장 변동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장기적인 금리 상승 전망에는 변함이 없고 불확실성도 여전하다는 평가다. 국내 금리 상승을 이끌어온 미국 10년물 금리는 지난해 말 0.91%에서 지난 19일 1.72%까지 치솟았고 미국 연방준비위원회는 이를 완만한 상승세로 표현하며 추가 상승을 용인할 것을 간접적으로 밝히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장기적으로 실물 경제활동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측하기 힘들다는 점을 시장 변수로 꼽았다. 특히 시장이 정부의 재정 확대에 미리 대비해온 만큼 구축 효과 등이 단기간에 나타나지는 않겠지만 경제 전반으로 정부의존도가 커졌다는 점은 부담 요인으로 꼽혔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전체적으로 경제의 정부 의존도가 높아져간다는 것은 사실”이라며 “과연 이런 부분이 인플레이션과 실질금리를 끌어올려 경제 전체에 타격을 미칠 것인지에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한나 기자 hann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