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반도체 슈퍼사이클 진입…PC용 D램 가격 26% 급등

2017년 1월 이후 최대 상승폭

서버용 D램도 18%까지 상승

낸드 가격 1년만에 반등도

국내 한 반도체 업체 사업장 /서울경제DB국내 한 반도체 업체 사업장 /서울경제DB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주력 분야인 메모리 반도체의 가격이 이달 26%까지 폭등했다. 2017년 1월 이후 최대 상승 폭으로, ‘반도체 슈퍼사이클(장기호황)’이 본격화한 것으로 보인다.



30일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이달 PC용 D램(DDR4 8Gb) 고정거래가격은 지난달보다 26.67% 오른 3.8달러로 집계됐다. PC용 D램 고정거래가격은 올해 1월 5% 상승한 이후 보합세를 보였는데, 2분기 장기 계약 시점이 시작된 4월에 그간 높은 수요가 반영되면서 큰 폭으로 가격이 뛰었다.

트렌드포스는 “2분기 노트북 생산량을 고려할 때 PC용 D램 가격이 8%가량 더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며 3분기에는 3∼8%가량 오르며 D램 공급사들의 이익이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달 PC용 D램의 월간 가격 상승 폭은 반도체 장기호황기였던 2017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당시 PC용 D램 고정거래가격은 4.19달러에서 5.69달러로 35.8% 증가했다.

관련기사



클라우드 업체들이 구매하는 서버용 D램 역시 이달 제품별로 가격이 15∼18% 규모로 상승했다. 기업들의 정보통신 분야 투자 확대와 클라우드 이주(마이그레이션) 움직임으로 클라우드 기업들의 재고 확보 움직임이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하반기에도 서버용 D램에 대한 견조한 수요가 이어지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일부 기업이 공급 대부분을 점유하는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D램과 함께 대표적인 메모리 반도체인 낸드플래시는 지난해 3월 이후 1년 만에 가격이 반등했다. 최근 6개월간 4.2달러에 정체돼 있던 메모리카드·USB향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 고정거래가격은 이달 8.57% 오른 4.56달러를 기록했다.

트렌드포스는 낸드플래시 제품에 대한 고객사의 높은 수요와 공급사의 제품 믹스 변화 등 영향으로 낸드플래시 가격이 향후 2분기 연속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희윤 기자 heeyoun@sedaily.com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