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데이터로 본 정치민심]국민의힘, ‘청년’에 집중된 당권주자 출마문

청년층 사로잡기…‘청년’만 70회

색깔론 사라지고 변화·혁신 강조

나경원(왼쪽부터) 전 의원, 이준석 전 최고위원, 주호영·김웅 의원나경원(왼쪽부터) 전 의원, 이준석 전 최고위원, 주호영·김웅 의원




제 1야당 국민의힘의 차기 당권에 도전하겠다며 총 10명이 국회 기자회견장이나 당사에서 출마선언을 했다. 지난 2019년 3명, 2017년 3명, 2016년 6명과 비교하면 확대된 인원이다. 21일 3선의 조해진 의원이 당 대표가 아닌 최고위원 출마로 선회했고 후보 간 단일화 변수도 남아있지만, 이번에 출마 선언문을 내놓은 10명은 당 안팎의 요구를 담고 당 진로에 대해 국민과 당원에게 다양하게 제시했다. 서울경제가 22일 조해진 의원까지 포함한 10명의 출마선언문을 전수 조사해 본 결과 당권주자 모두 ‘청년’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난달 4일 당시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서울 광진구 아차산역 앞에서 열린 '청년마이크' 현장을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오세훈 캠프지난달 4일 당시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서울 광진구 아차산역 앞에서 열린 '청년마이크' 현장을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오세훈 캠프


모두가 외친 ‘청년’…관련 단어만 70회


10명의 출마선언문에는 ‘청년’을 포함해 ‘젊은 세대’ ‘젊은층' 등 관련 단어는 총 70회 나온다. 이는 55회 언급된 ‘정권교체’ 보다 많은 수치다. 각 후보자마다 출마 선언에서 청년을 평균 7번 말한 셈이다. 지난 2019년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당시 황교안·오세훈 후보의 출마선언문에서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는 했지만 청년이 중심은 아니었다.

청년층 접근에 있어 각 후보자는 크게 ‘청년정치 확대’와 ‘청년문제 해결’ 두 가지 노선으로 나뉘었다. 우선 젊은 주자들을 중심으로 국민의힘에 청년들이 들어와 정치를 할 수 있게 문턱을 낮추겠다는 주장이 나왔다. “20세와 39세의 청년들에게 기초 및 광역자치의회 공천의 30%를 할당하겠다(김웅)”, “당헌당규를 개정해서 청년공천할당제를 명문화하겠다(김은혜)”, “30대 당 대표를 세울 수 있는 정당을 만들 것(조해진)” 등이 대표적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추경호 원내수석부대표, 전주혜 원내대변인, 태영호 의원과 청년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바른소리 청년국회와 태영호 의원 주최로 열린 ‘바른소리 청년국회’ 외교통일정책간담회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권욱 기자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추경호 원내수석부대표, 전주혜 원내대변인, 태영호 의원과 청년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바른소리 청년국회와 태영호 의원 주최로 열린 ‘바른소리 청년국회’ 외교통일정책간담회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권욱 기자


반면 당내 중진들은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대안 제시에 주력하는 모양새였다. “당대표가 위원장 맡는 당내 ‘청년실업 대책 특위’를 운영해 해결 방안을 제시하겠다(윤영석)”, “청년이 앞장설 수 있는 정책기구를 만들겠다(조경태)”,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혁파하겠다(주호영)”, “(청년문제 해결 위해) ‘청년청’ 신설을 위한 법안을 제출했다(홍문표)” 등이다.



한편, 청년 이슈를 비교적 강조하지 않은 후보자도 있었다. 나경원·신상진 전 의원이다. 나 전 의원은 “MZ세대(밀레니얼 세대+Z세대)의 현안부터 다양한 이슈에 대해 스마트한 답을 내놓을 수 있는 유능한 정당으로 다시 태어나겠다”고 말했다. 신 전 의원은 “청년시절 민주화 투쟁과 노동운동(을 했다)”는 언급 외에 청년 관련 구상이 없었다. 이준석 전 최고위원은 ‘젊은 세대’를 상당 부분 강조하긴 했지만 “젊은 세대에게 약속해야 할 것은 개방이고 경쟁”이라며 가치적 측면을 부각하는 데 집중했다.

관련기사



‘정권교체’ 강조했지만 ‘색깔론’ 없어지고 ‘변화’ 떴다


대선이 10개월도 채 남지 않은 만큼 각 후보자들은 ‘정권교체의 적임자’임을 자처했다. 단어 ‘정권교체’가 55회, ‘대선 승리’가 14회, ‘대통령 선거’가 5회 나오는 등 문재인 정권 심판은 하나의 키워드로 자리잡았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모두의 내일을 만들기 위해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정권교체다(김웅)”, “정권교체의 길을 찾아 다시 한 번 어둠 속으로 돌진하겠다(김은혜)”, “대선승리의 필요충분조건을 모두 성취하여 정권교체의 꿈을 이루겠다(나경원)”, “통합의 기반을 튼튼하게 구축해 대선승리를 만들어내겠다(신상진)”, “정권교체를 위한 혁신과 통합의 기수(윤영석)”, “대선에서 멋지게 승리해 보이고 싶다(이준석)”, “반드시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후보를 만들겠다(조경태)”, “정권교체 위해 완전연소하겠다(조해진)”, “정권교체를 위해 모든 것을 다 던지겠다(주호영)”, “정권교체를 위해 피 한방울까지 다 쓰겠습니다(홍문표)”.

후보자들은 정권교체를 강조하면서도 현정부에 대한 원색적인 비난은 피했다. 색깔론이 사라진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공격적인 단어가 중도층과 2030세대로의 지지 확장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2019년 2월 27일 당시 황교안 자유한국당 신임 대표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제3차 전당대회장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2019년 2월 27일 당시 황교안 자유한국당 신임 대표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제3차 전당대회장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는 지난 2019년 자유한국당 전당대회와 비교하면 극명히 대비된다. 당시 1위를 한 황교안 후보는 출마문에서 “김정은을 칭송하고 북한을 찬양하는 세력들이 당당하게 광화문 광장을 점령하고 80년대 주체사상에 빠졌던 사람들이 청와대와 정부·국회를 장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2위를 한 오세훈 후보도 “문재인 정권이 대한민국을 중환자로 만들었다”며 “김정은의 대변인 같은 대통령의 처신에 국가 안보는 백척간두에 서 있다”고 발언했다.

색깔론이 빠진 자리는 ‘변화’와 ‘혁신’이 채웠다. 후보자 10명의 선언문에서 ‘변화’는 42번, ‘혁신’은 50번, ‘통합’은 54번 등장한다. 이는 지난 재보선에서 국민의힘이 60%가 넘는 표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당 지지율이 절반 가량에 머물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보수’라는 직접적인 단어 대신 ‘야권’이라는 단어가 주를 이룬 것도 눈에 띤다. 후보자 10명의 선언문에서 ‘보수’는 11번으로 후보자 1명 당 1번 꼴이다. 반면 앞서 언급한 오세훈 후보의 출마문에서 보수는 12번 등장했다.



/김남균 기자 south@sedaily.com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