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지난해 中 기업부채 사상 최대…韓 수출 영향 줄까

中 기업부채, 지난해 말 GDP 대비 162.3%

한국은행 앞 /연합뉴스한국은행 앞 /연합뉴스




지난해 중국의 기업부채가 사상 최대로 불어나면서 우리나라 수출 전선에도 영향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은행은 23일 발표한 ‘중국 기업부채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요인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지난해 162.3%로 2019년 151.9% 대비 큰 폭 상승했다. 미국(83.5%), 일본(114.2%)보다 크게 높을 뿐 아니라 선진국(101.3%) 평균보다도 높다. 중국보다 기업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는 다국적 기업이 많은 룩셈부르크(350.3%), 아일랜드(184.4%) 정도다. 지난해 말 전 세계 기업 부채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9%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한은은 2016년 이후 공급 측 구조조정으로 둔화되는 기업부채 증가세가 코로나19 충격으로 다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봤다. 여기에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여파로 기업 수익성이 악화된 가운데 당국의 완화적 정책 기조가 더해지면서 기업 차입이 빠르게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국유기업의 부채 및 레버리지 규모가 민간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유기업 수는 전체 기업의 5%에 불과하지만 기업부채는 40%에 육박한다. 300명 미만의 소기업 부채도 급증했다.

중국은 부동산 관련 투자가 늘어나면서 부동산 기업의 부채 수준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반면 수익성은 낮다.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 규제가 강화되면 일부 부동산 기업의 유동성 위험이 향후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지방정보융자기구(LGFV) 부채가 지방경제 개발 및 활성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당국 유동성 지원으로 부채가 늘어나면서 한계기업 정리도 지연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주요 기관들은 정부 재정 여력 및 금융시스템 통제 능력을 봤을 때 기업부채가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중국기업 투자 활동 둔화로 이어질 경우 중간재 비중이 큰 우리나라 대중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