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금융 당국이 14년 만에 외화예금의 지급준비율을 올린 것은 최근의 위안화 절상이 지나치다는 판단 아래 직접 막아보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내수 부양을 위해 위안화 강세를 일정 부분 용인했지만 최근의 환율 하락 속도가 가파르다는 판단을 했다는 것이다. 외화예금 지준율을 올리더라도 올해 중국 경제성장과 외국인 자금 유입세에는 자신 있다는 뜻으로도 읽힌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31일 저녁에 외화예금 지준율을 기존 5%에서 7%로 2%포인트를 인상했는데 이는 지난 2007년 4%에서 5%로 오른 후 14년 만에 인상이다. 그만큼 전격적인 조치로 볼 수 있다. 이번 조치로 은행들은 외환 거래를 하려면 더 많은 달러를 지급준비금 형식으로 보유해야 한다.
앞서 이날 오전에 인민은행은 달러 대비 위안화의 기준환율(중간환율)로 전날 대비 0.28% 내린 6.3682위안을 고시했었다. 고시환율은 지난해 5월 29일(7.1216위안) 고점을 기록한 후 1년여 만에 무려 10.7% 하락(위안화 절상)했다. 이날 고시환율은 2018년 5월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았다. 최근 전 세계 주요 국가 가운데 중국의 절상률이 최고다.
위안화 환율의 하락세는 이미 중국 당국이 마지노선으로 설정한 달러당 6.4위안대를 돌파하고서도 꺾이지 않았다. 결국 인민은행 관련자들의 ‘구두 경고’에 이어 인민은행이 지준율을 높이는 특단의 액션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인민은행이 위안화의 강세를 막기 위해 가장 가시적인 조치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외화예금 지준율 인상에 따라 이날 외환시장에서 위안화 환율은 7거래일 동안의 하락세를 멈추고 이날 오후 늦게 반등했다. 역내 시장에서 위안화 환율은 이날 오후 7시 기준 전일 대비 0.05% 내외가 오른 6.37위안대에서 거래됐다.
중국 금융 당국의 외화예금 지준율 인상은 전날 저녁부터 조짐이 있었다. 관영 금융시보는 1면에 ‘향후 위안화 약세로 전환될 수 있는 4대 요인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제목의 논평을 실었다. 지금은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지만 뒤집어질 수 있는 여러 요인이 있다는 것이다.
금융시보에 거론된 요인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의 긴축 전환 △미국 경기회복에 따른 달러화 강세 △글로벌 생산능력 회복 △유동성 회수에 따른 거품 붕괴로 안전자산 선호 증가 등 네 가지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자회사인 금융시보사가 금융시보를 발행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이 논평은 인민은행이 시장에 보내는 경고라고 할 수 있다.
관영 신화통신도 이날 인민은행 조사통계국장을 지낸 성쑹청 중국유럽공상학원 교수의 인터뷰를 통해 “위안화 강세가 오랫동안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급격한 환율 변동은 실물경제를 손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주장을 보면 중국이 현재의 위안화 환율 하락 국면을 바라지 않는다는 점이 분명하다.
최근 위안화의 강세는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외국인 자금의 대거 유입으로 촉발됐다. 홍콩에서 중국 증시로 유입되는 북향자금은 지난 한 주 468억 위안의 순유입을 기록했는데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직전 최대가 2018년 11월의 346억 위안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의 유입세가 얼마나 강한지 가늠할 수 있다. 북향자금은 앞서 7주 연속 순유입을 기록했다.
특히 위안화 강세는 원자재 수입 가격을 떨어뜨려 중국 내수 경기 부양에 도움이 되고 있었다. 위안화 강세에 따른 수출 감소 우려도 나타나지 않았다. 글로벌 팬데믹 상황에서 중국의 경기회복이 가장 빠르면서 다시 ‘세계의 공장’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지나친 절상 속도가 문제였다. 글로벌 경제가 반등할 경우 위안화가 급속하게 절하되고 이는 중국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 최근 중국 관영매체들이 제기한 문제점도 이런 점에 근거한 것이었다.
특히 외국인 자금의 급속 유입은 중국 내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을 끌어올려 중국 공산당이 최우선으로 여기는 사회 안정을 헤칠 가능성이 커졌다. 광둥성 선전 등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4월 중국 내 70개 주요 도시의 신규 주택 가격은 지난해 동기 대비 4.8% 상승했다.
경기 부양의 기대로 중국 당국이 마냥 손놓고 있을 수 없는 이유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는 “올해 공산당 100주년 행사가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 가격 급등은 해결해야 할 중요한 정치적 이슈 중 하나”라고 전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