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식품 수출제한 유지...국제 곡물시장 어쩌나

설탕·밀가루 등 수급 불안 우려








막심 레셰트니코프 러시아 경제개발부 장관. /로이터연합뉴스막심 레셰트니코프 러시아 경제개발부 장관.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가 현재 임시 발동한 설탕·밀가루 등 주요 식품에 대한 수출제한을 앞으로도 지속할 것임을 시사했다. 국내 식품 가격이 너무 올라 국내 소비자를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 순위라는 입장이지만 곡물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막심 레셰트니코프(사진) 러시아 경제개발장관은 6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시장의 가격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주요 식품의 수출제한 조치를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레셰트니코프 장관은 이 같은 조치를 ‘충격 흡수’로 명명하면서 이를 통해 더 많은 식품 생산 투자를 독려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곡물 가격이 내려가면 국내 식품 업계의 투자가 늘어 가치 사슬이 성장한다”면서 “곡물이 축산업으로 가고 축산물이 낙농업으로 가는 식으로 연쇄 반응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레셰트니코프 장관은 “식량 수출을 지원하면서도 국내 시장에서의 가격 상승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러시아는 세계 최대 곡물 수출국이다. 그런 만큼 이번 수출제한 조치는 세계 식량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세계무역기구(WTO)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러시아의 수출은 4,190억 달러인데 이 중 8%를 밀이 차지한다.

5월 유엔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0%나 상승해 10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식품점과 식품 저장 창고 인프라가 열악한 러시아에서는 이 같은 가격 변동이 시장에 곧바로 전달된다.

FT는 “러시아는 7명 중 1명꼴인 2,000만 명이 빈곤선 아래에서 살고 있고 상당수 러시아인들은 식량 배급과 초인플레이션 시기의 고난을 기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해바라기씨 기름과 파스타에 대한 임시 가격통제를 발동했다. 올 초 밀에 수출 쿼터를 적용한 데 이어 이달에는 수출관세도 부과했다. 러시아 당국은 “수년간의 소득 감소로 필수재를 살 수 없는 다수를 위한 보상 조치”라고 설명했다.

/맹준호 기자 next@sedaily.com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